검찰 수뇌부가 대장동 사건을 항소하지 않은 것에 대통령실 의중이 반영됐다고 보는 여론조사 응답이 51.4%로 나타났다.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지난 15~16일 조사한 결과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은 지역별 반응이다. 대통령실 의중이 반영됐다는 응답은 대구·경북(56.4%)이 가장 높았다. 주목할 것은 민주당 철옹성인 호남권·제주의 결과다. 대통령실 의중이 반영됐다는 답변이 46.5%로 ‘대통령실과 무관하다’는 응답 44.8%보다 많다.
일반적인 정치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던 지역별 격차가 이번 조사에서는 많이 해소됐으며, 대장동 항소 포기가 대통령실 의중이 반영된 결과라는 인식은 전국적 현상이라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
연령대 별로 보면 대통령실 의중이 반영됐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18세~20대로 59.3%, 가장 낮은 연령대는 50대 40.4%로 18.9%p 차이다. 지역 별로 가장 많은 대구·경북(56.4%)과 가장 적은 호남권·제주(46.5%)은 9.9%p 차이로, 연령대별 편차가 지역별 편차의 2배에 이른다.
눈에 띄는 것은 50대의 고립화 현상이다. 대장동 항소 포기가 대통령실 영향이라는 반응이 전체 연령대에 59.3%~51.3%에 걸쳐 있는 반면 50대는 40.4%로 ‘고립된 섬’ 현상이 나타난다. 50대가 우리 사회의 의사 결정 집단이라는 점에서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대장동 항소 포기와 관련, 대통령실은 10일 한겨레신문과의 통화를 통해 "대통령실에선 이번 문제에 관여할 동기가 전혀 없다"며 대통령실 ‘외압’에 따른 것 아니냐는 세간의 의혹을 일축했다.
이후 한국갤럽 11~13일 조사에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전주보다 4%p 하락한 59%로 나타났다.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48%로 우세하게 나타난 영향으로 보인다.
대장동 항소 포기는 여권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이 대통령 지지율은 여전히 60%대를 넘나든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42%, 국민의힘 24%로 심지어 무당층 27%보다 낮다. 처참한 수준이다. 국민의힘은 정강 정책을 포함해 정치 포지션의 전면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12·3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평가를 기준으로 분당하는 것이 차라리 나을 수 있다.
- 기자명 자유일보
- 입력 2025.11.18 15:21
- 수정 2025.11.18 15:27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