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말부터 북한이 살포한 오물풍선 가운데 최소한 2개 이상이 주한외국대사관에 떨어졌다고 국민일보가 전했다. 외교부는 북한 오물풍선이 외국대사관에 추락했음에도 오물풍선 살포가 시작된 지 한 달여가 지난 뒤에야 주한 외국공관에 주의 공지를 했다고 한다.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5월 28일 북한이 오물풍선을 살포한 이래 주한외국대사관 2곳 이상에 풍선이 떨어졌다. 5월 30일에는 주한 일본대사관 입주 건물 옥상에 오물풍선이 떨어진 사실이 교도통신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 주한외국대사관은 비엔나 협약 등에 따라 해당국의 영토로 간주한다. 즉 북한 오물풍선이 외국 영토에 떨어진 셈이다.
그런데 외교부는 주한외국대사관 등 재한외국공관에 북한 오물풍선 추락에 대한 안전 공지를 한 달 뒤인 6월 27일에야 올렸다고 한다. 그 사이에서 북한 오물풍선 추락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외교부는 주한외국대사관 등에 별다른 안내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뒤늦은 조치 때문에 일부 대사관은 추락한 오물풍선을 발견한 뒤 외교부에 항의성 메지시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에 따르면 외교부는 "일부 주한외국대사관이 북한 오물풍선으로 추정되는 물체의 낙하 관련 상황과 우리 군·경의 도움으로 해당 낙하물을 수거한 사실 등을 외교부에 공유하고 향후 유사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문의한 바 있다"며 "북한 오물풍선 관련 상황을 설명하고 주한공관통합관리시스템에 모든 주한 공관을 대상으로 한 공지문을 게재했다"고 설명했다.
불행 중 다행으로 북한 오물풍선 낙하로 인해 대사관에서 피해가 발생하거나 해당국가와 우리나라 간의 관계에 영향을 준 것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북한 오물풍선 살포가 이어지는 상황임에도 주한외국대사관에 대응 방안을 사전에 공지하지 않은 것은 외교적 결례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홍기원 의원은 "각국에서 본국에 해당 사건의 경위를 뭐라고 보고할지 생각하면 너무 창피하고 참담하다"고 비판했다.
최근 북한 오물풍선은 수소로 가득 채우고, 쓰레기를 담은 봉투 겉면에는 화약 띠를 두른 상태로 날아들고 있다. GPS를 장착해 정확성을 높이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정해진 살포 위치에서 풍선을 터뜨리려는 의도라고 볼 수 있지만 추락한 오물풍선으로 인해 화재도 발생했던 전례를 떠올려 보면 점차 무기화되어 간다는 지적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