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은행 앞에 놓인 대출출 상품 안내문. /연합
서울 시내 한 은행 앞에 놓인 대출출 상품 안내문. /연합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경제 규모(국내총생산·GDP)를 고려할 때 세계 최상위권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과도한 주택 투자 열기에 부동산 경기를 살리려는 정책까지 더해져 GDP 대비 가계대출 비율이 90%를 웃돌면서 경제 성장과 통화 정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역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2∼3개월 후 가계대출이 급증하면 한국은행이 경기 침체에도 기준금리를 낮추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6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7%로 세계 38개국 중 캐나다(100.6%)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지난 11일 발표한 자료에서도 작년 3분기 말 기준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0.7%로 세계 44개국 중 5위였다. 신흥시장 평균(49.1%)이나 주요 20개국(G20) 평균(61.2%), 조사 국가 평균(61.9%)보다 월등히 높다. 1위는 스위스(125.7%)였고, 호주(111.5%)·캐나다(100.1%)·네덜란드(94.2%)가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올해도 가계대출과 집값 불안이 한은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잔액(1672조원)은 1월보다 4조3000억원 증가했다. 기준·시장금리와 함께 대출금리가 떨어진 가운데 작년 말까지 가계대출을 조여온 은행권이 연초 각종 대출 규제를 풀었고, 이사 철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서울 집값이 다시 오르고 거래도 늘어나면서 2개월 안팎의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이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