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40%를 넘었거나 육박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더불어민주당이 해당 여론조사 기관 고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궤변과 억지 논리로 법을 무시하던 민주당이 이제는 ‘언론의 자유’까지 탄압하려 한다는 비판이 터져 나오고 있다.
매일신문 등에 따르면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지난 6일 당 고위전략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최근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을 호도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다"라며 "한국여론평판연구소의 편향적 여론조사에 대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수석대변인은 "문항 설계 등이 특정 대답을 유도하는 식으로 진행됐다는 판단"이라며 "지지율의 높고 낮음의 문제가 아니고 문항 설계 과정을 지적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공직선거법 제108조를 고발 근거로 들었다. 해당 조항은 "특정 정당 또는 후보자에게 편향되도록 하는 어휘나 문장을 사용하여 질문하는 여론조사 행위는 금지한다"는 것이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7일에도 "법률위원회에서 검토가 끝나고 고발을 하게 되면 공지를 할 예정"이라며 여론조사 기관에 대한 고발을 추진할 것임을 재차 밝혔다고 뉴데일리가 전했다.
민노총 언론노조나 민주당이 이렇게 발작하는 여론조사는 지난 3~4일 한국여론평판연구소가 아시아투데이 의뢰로 전국 성인 남녀 4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5일 공개한 것이다. 해당 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40%로 나왔다.
그런데 같은 날 공개된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한국여론평판연구소가 뉴데일리 의뢰로 지난 4~5일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39.6%가 나왔다. "매우 지지한다"는 29.2%, "지지하는 편이다"는 10.4%였다.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53.1%로 대폭 하락했다.
지역별 응답을 보면 윤 대통령 지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서울로 47.4%에 달했다. 이어 대구·경북 46.2%, 부산·울산·경남 41.7%, 대전·세종·충청 38.9%로 나타났다. 민주당의 텃밭으로 불리는 인천·경기와 광구·전라에서도 각각 38.1%와 22.1%가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정당 지지도 또한 국민의힘이 38.8%로 민주당(33.7%)을 오차범위 밖에서 앞질렀다.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연령대는 70대 이상으로 56.6%였다. 이어 30대 42.2%, 60대 40.8%, 18~29세 39.6%가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노년층과 2030 젊은 층에서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반면 40대는 29.8%, 50대는 31.6%만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실제 세간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시도 이후 민주당을 향한 비판이 더 커지는 중이다.
한편 국민의힘은 민주당을 향해 "여론조사까지 길들이려는 간악한 시도"라고 비판했다.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장 이상휘 의원은 7일 오전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이 40%로 집계된 여론조사가 나오자 민주당이 발작 반응을 보였다"며 "여차하면 여론조사에 응답한 사람까지 고발하겠다는 기세"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장단을 맞추는 친민주 친명계 매체도 문제가 심각하다"며 "정상적인 여론조사를 폄훼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7일 몇몇 일간지는 아시아투데이 의뢰 여론조사 문항을 두고 "조사 문항이 편향됐다"는 좌파단체의 주장을 그대로 옮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