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이날 거래를 시작한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

정국 불안에도 불구하고 원·달러 환율 상단 1450원, 코스피 하단 2250은 지켜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는 ‘한국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시장영향’ 보고서에서 "과거 탄핵 사례에서 금융시장은 탄핵소추안 가결 시 단기적으로 불확실성 해소로 반응했으며 이후에는 글로벌 경기 사이클에 연동되는 흐름을 보였다"고 분석하고 "연간 전망치인 원·달러 환율 상단 1,450원과 코스피 하단 2,250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NH투자증권은 앞선 두 차례 탄핵 사태를 볼 때 최근의 증시 하락이 과도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의결 이후 헌법재판소의 기각까지 코스피는 11.6% 하락했으나,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안 의결 이후 헌재의 인용까지 코스피는 3.6% 상승해 탄핵이 지수 흐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고서는 "금융 당국의 개입과 관련 의지가 충분하다는 것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며 "지난달 말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500억달러로 확대했고 국민연금의 외화선 조달 한도를 확대 시행 중이며 계엄 사태 이후 무제한 유동성 공급의 의지를 밝혀 추가 상승 압력이 제한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화투자증권은 이날 "비상계엄 사태가 국고채 금리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라면서 "이는 해당 이벤트가 시스템 안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성수 연구원은 "정치적 충격이 시장이나 국가 신인도에 충격을 주려면 사건이 그 국가의 시스템과 제도 바깥에서 발생하거나 재정과 경제와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존재해야 한다"고 전제했다. 그는 "계엄도, 탄핵도 우리나라 사법 시스템이 규정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이라며 "대통령은 계엄 선포 권한이 있고 국회는 탄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이번 계엄 사태 다음 날 시장은 우려에 비해 평온했다"며 "장 초반 외국인이 3년 국채 선물을 순매도했지만, 장중 축소되기도 했고, 10년 국채 선물은 장 시작부터 마감까지 순매수세를 유지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