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구래 초대 외교전략정보본부장, ‘한반도 정책‧미래 토론회’서 다짐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4개국 조직’ 외교전략정보본부 확대
“북한 비핵화 만큼 인권개선 노력도 강화...해외 탈북민 보호도 포함”
“미중 경쟁‧북러 밀착 등 국제정세 변화가 한반도 문제 변화와 동반”

지난 19일 국회에서 ‘한반도 정책, 미래를 위한 출발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
지난 19일 국회에서 ‘한반도 정책, 미래를 위한 출발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

“자유와 인권을 박탈당한 채 굶주림에 고통받고 있는 북한 주민이 있다는 점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해외 탈북민 보호 이송의 주무기관으로서 저희 본부는 헌법상 우리 국민이자 먼저 온 통일인 탈북민들을 국내까지 안전히 모시고 올 수 있도록 계속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지난 19일 국회에서 외교부와 김건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 주최한 ‘한반도 정책, 미래를 위한 출발 토론회’에서 발제한 조구래 초대 외교부 외교전략정보본부장은 이같이 다짐했다. 지난 5월 한국 외교부 조직개편으로 기존 한반도평화교섭본부는 외교전략정보본부로 확대됐다. 본부 산하에 외교전략기획국, 외교정보기획국, 한반도정책국, 국제안보국 등 4개국을 두게 됐다.

조 본부장은 “새롭게 태어난 외교전략정보본부는 기존 업무에 외교 전략과 정보, 사이버 업무 등을 추가했다”며 “국제환경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진단하고 종합적인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북한 비핵화 노력만큼 북한 인권 개선 노력도 강화해나갈 것”이라며 “여기에는 해외 탈북민 보호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해외 탈북민 보호 이송의 주무기관으로서 탈북민들을 국내까지 안전히 이송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국제 정세의 지정학적 변화가 한반도 문제의 변화와 동반하고 있다”며 “미중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북러 밀착 등이 북핵 문제의 돌파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토론회를 주최한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출신인 김건 의원은 “20년 전 처음 북한 업무를 시작할 때는 북한 핵 개발만이 걱정거리였지만 지금은 미중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등 문제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며 “북한만 바라보는 기존 대북정책 개념으로는 한반도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