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유화 조치라는 분석도
이재명 정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 시절 사용되던 ‘한일중’ 표기를 다시 ‘한중일’로 돌려놨다. 표기 통일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최근 정부가 강조하는 대중 관계 관리 기조와 맞물린 조치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16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는 그동안 혼재돼 사용되던 동북아 3국 표기를 앞으로 ‘한중일’로만 쓰기로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표기로 정리해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차원"이라며 "지난 정부의 혼용 표기 때문에 ‘한국이 어느 나라에 더 가깝나’는 식의 소모적 논쟁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외교의 핵심은 균형인데 전임 정부는 이념 외교에 치우쳐 일본 중심으로 과도하게 접근한 측면이 있다"며 "이를 원래대로 되돌린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윤석열 정부 이전까지는 ‘한중일’ 표기가 일반적이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8월 아세안 정상회의 이후 ‘한일중’ 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당시 대통령실은 "가치와 자유를 기반으로 미·일 공조가 강화되는 흐름을 반영한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다만 이재명 정부가 다시 ‘한중일’로 통일한 배경에는, 최근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대중 관계 복원 기조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중국과의 관계를 ‘전면 회복’하겠다고 밝힌 대통령의 외교 방향과도 흐름이 맞닿아 있다는 의미다.
이 대통령은 지난 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실용과 상생의 길로 함께 나아가게 됐다"고 평가했다. 지난 14일 한미 관세·안보 협상 공동 설명자료를 발표하면서도 "중국과 꾸준한 대화를 통해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길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핵추진잠수함 건조 추진 등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사안이 포함된 협상 직후 나온 발언이라는 점에서 대중 관계를 의식한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