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장동 항소 포기' 이후 공세 최고조

장동혁 '대통령' 호칭 빼고 '李는 존재 자체가 재앙"
주진우도 보좌관 메시지 읽은 정성호에 "앵무새"
"이재명 대통령" 박형수 발언에 호칭 빼라 항의 빗발

"자극적일 수 있지만 독재로 가는 상황 상징적 표현"
내년 지방선거 앞두고 당과 국운에 대한 절박감 반영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

국민의힘이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을 겨냥한 공세 강도를 최고 수위로 끌어올리며 ‘선명성 투쟁’에 나서고 있다. 실제 여·야 지지층 모두에서 현 정부의 독재 가능성 우려가 커지는 만큼, 더 강력한 대응이 필요하단 이야기도 나온다.

13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대통령을 ‘히틀러’에 비유했다. 그는 “3개 특검의 무도한 칼춤과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보면서 히틀러의 망령이 어른거린다”며 “히틀러는 자기 측 사건은 덮고 반대파 사건은 확대기소하는 선택적 사법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날 주진우 국민의힘의원도 정성호 법무부 장관을 ‘앵무새’로 칭했다. 그는 조상호 법무부 장관 보좌관이 정 장관에게 보낸 텔레그램 메시지를 두고 “조 보좌관이 정 장관 상사 같았다”며 “정 장관은 보내준 내용 그대로 읊었다. 앵무새 같았다”고 말했다.

12일 ‘대장동 일당 7400억 국고 환수 촉구 및 검찰 항소포기 외압 규탄대회’에서 국힘 지도부의 발언은 더 강력했다. 장 대표는 “지금 대한민국은 시민들의 분노로 가득 차 있다. 오직 한 사람, 대한민국을 말아먹고 있는 이재명 때문”이라며 “이재명은 그 존재 자체로 대한민국의 재앙이다. 재명이 아니라 재앙”이라고 말했다.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 재임 당시 국가적 재앙이 많이 발생하자 ‘문재앙’이라고 불렀던 사례를 연상시켰다.

이날 장 대표는 “이재명을 끝내야 한다”, “대장동 게이트의 몸통은 이재명”이라 말하며 연설 내내 ‘대통령’ 호칭을 생략했다.

장 대표에 앞서 연단에 오른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은 연설 도중 ‘이재명 대통령’이라고 호칭을 붙였다. 이에 국회에 모인 지지 당원들은 “대통령 호칭 빼라”며 즉각 항의했는데, 장 대표 역시 이러한 지지층의 뜻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국회 장외투쟁에 참석했던 국민의힘 박현우 영등포구의회 의원은 1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힘 지도부의 표현이 조금 자극적일 수 있겠지만, 권위주의 독재로 가는 상황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모두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역구 내 민주당 당원분들도 현 정부의 독재 가능성을 우려하신다”며 “(민주당원들도) 국민의힘이 더 선명하게 싸워줬으면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러한 현상을 “지선을 앞두고 독재로 향하는 것에 대한 국민들의 절박함이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 의원은 “여당과의 선명한 투쟁을 하면 할수록 내부 결속도 잘 다져질 것이라 본다”면서 “진짜 문제가 되는 것은 정치권에서 일어나는 ‘실언’이나 ‘망언’”이라고 꼬집었다.

실제 정치권에선 이 같은 ‘선명한 발언’이 핵심 지지층 결집에 꽤 효과적이라는 평가다. 공세적 메시지가 ‘우리 편이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신호로 작용해 대중 동원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를 치렀던 손수조 현 미디어대변인도 13일 본지 통화에서 “이재명 재판 재개 여론도 절반이 넘었고, 항소포기 사건도 국민들이 도를 넘는다고 보고 있다”면서 “국민의힘 입장에서 민심을 반영한 발언”이라고 설명했다.

‘중도층 이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손 대변인은 “중도층이 보기에도 지금 상황은 비정상적”이라며 “우리는 아주 상식적인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당의 선명한 발언은) 중도층에게도 충분한 소구력을 가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