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 관계자가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 간 대화가 재개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또 정부로서는 핵무장 계획이 없으며 다음 정부도 그런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현지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이 만날 가능성에 대해 "지금으로선 단정적으로 말하기 곤란하지만,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본다"면서 "할 수 있는 일이고 또 그렇게 되기를 바라면서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인 지난 2019년 6월 일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마치고 전격 방한해 판문점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났던 상황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또한 최근 김 위원장이 북미대화에 대한 의향을 피력한 이후 달라진 정부 판단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2018년 이후 7년 만에 김선경 외무성 부상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뉴욕 유엔총회 고위급 회의에 파견한 것도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북한의 ‘통미봉남(미국과 대화하면서 한국과는 단절)’ 전략에 대해선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사태 이후 미 정부와의 비자 문제 협의에 대해선 "기업 투자 시 별도의 비자 카테고리를 신설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체류 자격을 확보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추진과 관련해선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는 어디까지나 산업적 측면"이라며 "잠재적 핵보유국이 되려고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한국 내 일각에서 거론되는 독자 핵무장 가능성에 대해 "당연히 우리 정부는 핵무장에 아무런 계획이 없다"며 "다음 정부도 그런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 역할을 맡아 달라고 요청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내 만난다면 환상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