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동반 추락하며 여권에 비상등이 켜졌다. 하락세가 가파른데다 앞으로 반등할 요소가 별로 보이지 않아 이 대통령과 갓 출범한 민주당 ‘정청래호’의 주름살이 나란히 깊어질 전망이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이 대통령 지지율은 8월 1주차(63.3%)에 비해 12.2%p 하락한 51.1%였다. 부정 평가는 44.5%로 취임 후 최고를 기록했다. 민주당의 지지율도 8.5%p 급락한 39.9%를 기록하며 40%선이 무너졌다. 반면 국민의힘은 6.4%p 상승한 36.7%로, 양당간 격차가 오차범위인 3.2%p로 좁혀졌다.

여권의 지지율이 추락한 배경으로는 조국과 윤미향 등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 주식 양도세 논란,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헌정사상 첫 동시 수감, 특검의 국민의힘 당사 압수 수색 등이 꼽히고 있다. 강성 지지층 중심의 정책이 "너무 지나치다"는 반응과 함께 중도층 이탈을 초래하고 흩어졌던 보수층의 결집을 불러오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여당이 부랴부랴 전국민 90%에게 10만 원씩 지급하는 민생회복 2차 소비 쿠폰 계획을 발표한 것도 최근의 지지율 추락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단발성 정책이 지지율을 다시 끌어올릴지는 의문이다. 경제를 악화시키는 요인들이 앞으로 본격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노란봉투법 통과, 법인세 인상 등은 당장은 부정적 효과가 드러나지 않지만 앞으로 두고두고 경제의 골병이 될 수밖에 없다.

민생 쿠폰도 지급 당시는 환호를 불러왔지만 조만간 역효과를 불러올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재명 정부가 재정 확장 기조를 강행하면서 올해 국채 이자 비용만 30조 원을 넘겨 역대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런 빚은 정책 운용의 발목을 잡고 민생의 주름살을 깊게 할 수밖에 없다. 코앞에 닥친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도 잠재적인 불안 요소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위기는 포퓰리즘이라는 사탕으로는 결코 해결할 수 없다. 국민의 갈증만 깊어질 뿐이다. 당장은 어렵더라도 정도를 걸어가야 길이 보인다. 우리나라 정치 지도자들의 철학 빈곤이 너무 뼈아프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