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취임 이후 국정 지지율이 50%대로 추락한 것은 처음
조국·윤미향 등 부정·부패 정치인 사면이 원인으로 분석
조국 출소해 추가하락 vs 한미 정상회담으로 회복 가능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치인 50%대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국·윤미향으로 대변되는 정치인 사면이 가장 큰 부정적 요소로 작용했다는 분석 속에서도, 더불어민주당은 “오히려 여론이 나쁘지 않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정치인 사면과 함께 정부의 ‘대주주 기준’ 등 경제 이슈와 맞물려 더 큰 폭의 지지율 하락이 나타날 수 있다며 지지율 변동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 대통령 직무 평가 조사 결과에서 응답자의 59%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한 달 전인 7월 3주차 조사 대비 긍정 평가가 5%p 하락하고, 부정 평가가 7%p 상승한 수치다. 한국갤럽이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시행한 조사에서 50%대 지지율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장 높은 부정 평가 이유는 ‘특별사면’(22%)이 차지했고, ‘과도한 복지·민생지원금’(11%), ‘외교’(7%), ‘도덕성 문제·자격 미달’(7%), ‘경제·민생’(7%)가 뒤를 이었다.
이번 부정 평가 상승에는 자녀 입시 비리 등으로 대법원에서 확정 판결을 받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위안부 할머니들의 후원금을 횡령한 윤미향 전 국회의원 등이 포함된 사면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20대는 50%가, 30대는 62%가 사면을 반대해 2030 세대에서 조 전 대표 등의 특별사면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조 전 대표의 출소 이전부터 여론 움직임에 자신감을 보였다.
전현희 최고위원은 사면 명단이 발표된 다음날인 12일 SBS 라디오에서 “전반적으로 사면에 대해 여론은 크게 나쁘지 않다”며 “사면이 결정적으로 지지율이 떨어지는 배경이라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전 최고위원은 조 전 대표와 함께 논란이 된 윤미향 전 의원 사면에 대해서도 “너무 과대 포장해서 악마화된 측면이 있다”며 “오히려 광복절 특사가 위안부 할머니에 대한 존중과 명예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더 적절하지 않나”라고 했다.
그러나 당 일각에선 조 전 대표 사면 이전부터 당 지지율에 미칠 영향을 경계하는 분위기도 있다. 최근 이춘석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주식 차명 거래 의혹과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논란 등으로 청년층 민심이 이탈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에서 조 전 대표의 사면이 임기 극 초반인 국정 운영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편, 일각에선 “이번 발표된 국정 지지율은 조 전 대표가 실제 출소한 15일 0시 이전까지 조사된 결과”라며 “현재는 조 전 대표가 완전히 출소했고 복당 등 활발한 정치 활동을 이어간다면 국정 지지율은 더 크게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대 진영에선 “이 대통령이 이달 예정된 한일·한미정상회담에서 ‘실용 외교’ 성과를 보인다면 지지율이 회복 가능하다”고 보고있어 앞으로 지지율 그래프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