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로 높이고 다른 국가에 대해서는 90일간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작된 지 13시간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를 125%로 올리면서,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 정면 대응하는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높이는 대신 대미(對美) 관세·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해 나선 한국을 비롯한 70여개국에 대해서는 한시적이지만 관세율을 낮춘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90일간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됐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미국의 104% 관세에 대해 추가 맞대응 조치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머지않은 미래에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용납되지도 않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뺀 70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면서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라고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재 뒤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다.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imprudently)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이어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에 대해 "맞춤형 협상을 계속할 것이며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동안 관세는 10%로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김상혁 기자
/그래픽=김상혁 기자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조치가 결과적으로 중국을 겨냥하기 위한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것은 나쁜 행위자에 대한 것"이라면서 한국, 일본, 베트남 등이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했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 그는 무역 전쟁의 구도를 ‘세계 대 중국’으로 가져가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중국이 확전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면서 "우리는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관세’로 인한 무역전쟁 격화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주식 시장이 연일 폭락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전인 7일 언론에서 ‘관세 90일 유예설’이 보도됐을 때도 아니라고 부인했고, 백악관은 이를 ‘가짜 뉴스’로 규정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실제 상호관세가 부과되자 드러난 경제 충격과 안팎의 반발이 예상한 범위를 벗어나자 한발 물러선 것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상호관세 발표 때부터 급락 추세를 보인 전 세계 금융시장은 앞선 ‘관세 유예 오보 소동’ 당시에도 급격히 출렁이는 등 변동성이 급격히 확대됐다.

이와 동시에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잇달아 내놓은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맞대응 조치에 대해 전날 대중국 상호관세를 34%에서 84%(총 104%)로 올렸으며 이날 다시 125%로 21%포인트 높였다.

그러나 중국은 10일 당초 예고한 대로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하는 84% ‘맞불 관세’ 시행에 들어갔다. 또 미국이 중국에 대해서만 1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데 대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사설을 통해 "미국의 경제적 괴롭힘 행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