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4일 서울 여의도 국회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

더불어민주당이 조기 대선 후보 경선룰을 그대로 가져갈 것으로 알려지자 비명(非이재명)계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현행 경선 규정인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유지할 경우 이재명 대표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하기에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경선이 현실화되자 시간이 촉박하다는 이유로 기존 경선 방식을 고수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6일 "경선 일정을 짜보고 있는데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며 "경선 룰은 주어진 것에 맞춰서 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 변경이 빠듯하다. 일정 계산을 해보면 지역을 서너 번 넘게 다니는 것은 힘들다"고 밝혔다.

한민수 대변인도 "헌재에서 탄핵 인용 이후 60일 이내 조기 대선이 치러지려면 자체 경선은 한 달이 채 안 될 것"이라며 "그렇게 된다면 현재 마련돼 있는 제도로 서둘러 진행될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다수의 친명계 의원들은 당헌 98조를 후보 경선 근거로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이 조항은 총선과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을 50% 이하, 권리당원이 아닌 유권자를 50% 이상 경선에 참여시키고 선거인단 구성 비율과 방법은 별도로 정하도록 했다. 일정이 촉박해 완전국민경선제를 위한 선거인단 구성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논리다.

이에 비명계 관계자들은 "경선 방식 변경 없이 가는 것은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꼴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며 전향적으로 모든 야권에 문호를 개방하는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명계 한 관계자는 6일 "국민 정서가 갈라진 상황에서는 경선 과정에서부터 국민 통합을 할 수 있는 방식이어야 한다"며 "최대한 많은 일반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게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전해철 의원도 "촉박한 경선 일정을 봤을 때 오히려 조금 더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방식이 좋다"며 "현 상황에서는 야권 전체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기대 전 의원은 "비명계 대선 주자들이 이 대표를 위한 들러리로 서는 경선이 돼선 안 된다"며 "화합과 통합을 위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조기 대선 후보 경선 일정과 방식은 이번 주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부적으로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당헌 개정과 대선 특별당규 제정, 예비후보 등록, 경선규정 논의, 선거인단 모집 등을 오는 15일까지 마친다는 목표로 경선 방식을 다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비경선이 없을 경우 본경선은 16~27일 전국 4개 권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2017년 19대 대선 경선처럼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강원·제주로 나눠 권역별 경선을 실시하는 방식이 현재는 유력하다.

민주당 대선 경선에는 이 대표를 비롯해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광재·박용진 전 의원과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