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현지시간) 태국 방콕에서 구조 당국이 미얀마 강진의 영향으로 무너진 고층 빌딩 근처에서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UPI=연합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에 따른 사망자가 1600명을 넘어서는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29일(이하 현지시간)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강진 발생 이틀째인 이날 오후 성명을 통해 이번 지진으로 인해 1644명이 사망하고 부상자도 3408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전날만 해도 144명으로 집계됐던 사망자 수가 하루 만에 11배 이상 불어난 것이다.

현재 구호 단체 등을 중심으로 생존자를 한 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지만 지진으로 인해 도로와 통신망 등이 파괴된 상태라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엔 관계자는 군부 정권에 의해 고립돼 있던 미얀마에서 수년 만에 치명적인 지진이 발생한 탓에 외상 처치 키트와 마취제 등 부족한 의료품 공급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건물 붕괴로 수천 명의 사람들이 거리에서 밤을 보내고 있는 가운데 여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붕괴된 건물에서 시신이 계속 발견되고 있는 만큼 사상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28일 낮 12시 50분께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각각 떨어진 지점이다. 지진 발생 12분 뒤 규모 6.4의 여진이 일어나면서 미얀마 곳곳에서 다리와 건물 등이 붕괴됐다. 진원 깊이가 10㎞로 얕은 편이어서 피해를 더 키웠다는 분석이다.

이번 지진으로 인해 지진 발생 지역과 1000여㎞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도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 빌딩이 무너져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큰 상태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인도주의 지원을 요청했다.

각국이 미얀마 지원 계획을 밝힌 가운데 최근 해외 원조 비용을 삭감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미얀마에 대한 지원을 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