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김상혁 기자
/그래픽=김상혁 기자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에 고착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환율은 4개월째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1400원대가 ‘뉴노멀’로 자리 잡은 모습이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연초부터 지난 14일까지 두 달 반 동안 원·달러 환율은 평균 1450.7원을 기록했다. 지난주에는 줄곧 1451~1458원에서 등락했다. 이달 말까지 큰 변화가 없다면 1분기 환율은 1998년 1분기(1596.9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다. 분기 평균환율은 외환위기였던 1997년 4분기 1151.2원에서 1998년 1분기 1596.9원으로 치솟았다. 그러다가 같은 해 2~3분기에는 1300원대로 떨어졌고 4분기에는 1200원대로 더 낮아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파에 2009년 1분기 1418.3원으로 다시 1400원대로 올라섰으나 이후 1100~1200원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미국 긴축에 따른 글로벌 강달러로 2022년 3분기부터 1300원대로 올라섰고, 작년 말 미국 ‘트럼프 2기’ 출범과 비상계엄 사태 등 나라 안팎에서 충격이 이어지면서 1400원대 중반으로 수직 상승했다. 월별로도 지난해 12월(1436.8원), 1월(1455.5원), 2월(1445.6원)에 이어 3월에도 지난 14일까지 평균 1452.6원을 나타내면서 4개월 연속 1400원대 중반을 지키고 있다. 환율이 넉 달째 1,400원대를 유지하는 것은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최근에는 강달러 흐름이 진정되고 다른 주요국 통화 가치가 절상되는 흐름에서도 원화 약세는 이어지고 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1월 초 110선을 넘기도 했지만 이후 103대로 밀린 상태다. 지난 1월 달러당 160엔에 육박했던 엔·달러 환율은 147엔선으로 떨어졌고, 달러·유로 환율도 유로당 1.02달러까지 밀렸다가 3월 들어 유로당 1.08~1.09달러까지 반등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