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거점 확보 위해 정부 지원 필요"

/연합
/연합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거점으로 떠오르는 미국 동남부, 캐나다·멕시코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물류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발간한 ‘트럼프 집권 2기 물류 공급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물류 공급망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이같이 밝혔다.

대한상의는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으로 묶인 멕시코·캐나다, 한국·대만 등 기존 경제 동맹국을 중심으로 물류 공급망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북미 공급망에 새롭게 진입하는 아시아의 전략적 동맹국이 한국 항만을 환적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북미 시장에 특화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 차원에서는 기업들의 물류 거점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물류 정책 통합 거버넌스 구축 ▲화주·물류 상생 기반 마련 ▲물류 공급망 인프라 지원 등 3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제조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 사업의 자국 내 산업화(공장 기지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과거 한국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및 중간재가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이동했던 것과 달리 한국 중간재가 곧바로 북미로 건너가 역내에서 최종재가 되고, 미국 내에서 소비되거나 일부 해외로 수출되는 물류 흐름으로 바뀔 것으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