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적으로 남성임을 의미하는 XY 염색체를 갖고 2024 파리 올림픽 여자 복싱에 출전해 논란에 휩싸인 이마네 칼리프(26·알제리·66㎏급)와 린위팅(28·대만·57㎏급)이 나란히 결승에 진출했다. 올림픽 복싱은 따로 3·4위전을 갖지 않기 때문에 두 사람 모두 최소한 동메달은 확보하게 됐다. 지금까지의 경기를 보면 금메달 가능성도 높다.
16강전에서 칼리프와 대결한 안젤라 카리니(25·이탈리아)의 경우를 봐도 알 수 있다. 한마디로 공정한 대결이라고 보기 어려운 경기였다. 카리니는 경기 시작 불과 46초 만에 칼리프에게 얼굴을 얻어맞고 기권했다. 카리니는 경기가 끝난 후 계속해서 "불공정하다"는 말을 내뱉으면서 칼리프와 인사도 나누지 않고 링을 떠났다.
두 사람의 ‘여성’ 자격에 대해서는 이미 논란이 있었다. 국제복싱협회(IBA)는 지난해 칼리프와 린위팅이 일반적으로 남성을 의미하는 XY 염색체를 가졌다고 주장하며 두 선수의 세계선수권대회 실격을 선언했다.
하지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두 선수의 염색체가 XY인 증거가 없고 이들은 ‘여성 선수’라며 파리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IBA는 IOC로부터 올림픽 퇴출 처분을 받은 상태다.
파리 올림픽은 ‘완전한 성평등 실현’이라는 기치 아래 기존 대회와 차별화되는 요소들을 도입했다. 사상 최초로 참가 선수 성비를 남녀 동수로 맞췄고, 여성 선수 참가율을 높이기 위해 여성 경기를 늘렸다. 복싱·레슬링에서 여성 체급이 1개씩 늘어났고, 카누·요트 등은 혼성 경기를 신설했다. 남자 마라톤이 ‘피날레’를 장식하던 관례를 없애고 여자 마라톤이 폐막식 직전 치러진다.
이런 조치들은 여성에 대한 배려에서 나온 것이다. 하지만 이런 배려가 결과적으로 여성에게 불이익으로 돌아오는 현실은 아이러니하다. 인간의 신체 능력은 염색체에 의해 좌우된다. 남성 염색체를 가진 선수에게 여성 염색체를 가진 선수가 일방적으로 얻어맞고 메달을 뺏기는 것은 필연이다. 어설픈 젠더 이론으로 호도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신앙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인간의 이성은 오만해지기 쉽다. 젠더 이론은 근대 합리주의가 극단으로 치달은 결과물이다. 조물주의 창조 질서에서 벗어난 오만이 인간을 진정한 평화와 안식으로 이끈 사례는 아직 발견된 적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