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요원이 수미 테리 CFR 선임연구원에게 명품 가방을 사준 뒤 결제하는 모습. 정보요원이 CCTV에 노출되는 것을 무릅쓰고 해외 조력자에게 이런 식으로 명품 선물을 하는 경우는 찾아볼 수가 없다. /미 연방검찰 기소장 캡처
국정원 요원이 수미 테리 CFR 선임연구원에게 명품 가방을 사준 뒤 결제하는 모습. 정보요원이 CCTV에 노출되는 것을 무릅쓰고 해외 조력자에게 이런 식으로 명품 선물을 하는 경우는 찾아볼 수가 없다. /미 연방검찰 기소장 캡처

문재인 정부 시절 수미 테리 미 외교협회(CFR) 선임연구원에게 명품 가방 등을 선물한 전·현직 국가정보원 요원들에 대해 국정원이 내부 감사에 착수했다. 이 감사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던 ‘대미 영향력 공작’의 실체가 드러날지도 주목된다.

국정원은 현재 수미 테리 선임연구원에게 명품 코트와 명품 가방을 선물한 국정원 전·현직 요원 3명에 대해 내부 감사에 착수했다. 3명 가운데 1명은 이미 퇴직했고 다른 2명은 현직이다. 현직 요원 가운데 2급 간부는 최근 보직 해임됐다. 해외에서 근무 중인 나머지 1명도 조만간 본부로 소환해 감사할 것으로 전해졌다. 보직 해임된 요원과 해외 근무 중인 요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 미국에서 근무했고, 선후배 사이라고 한다.

언론에서는 국정원 요원이 수미 테리 선임연구원에게 명품을 선물한 것을 단순 로비처럼 보도하지만 정보전문가 사이에서는 문재인 정부 시절 ‘대미 영향력 공작’과의 관련성을 의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대중 노벨상 프로젝트’를 폭로한 뒤 미국으로 망명한 전직 국정원 요원 김기삼 변호사는 지난해 6월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정원 인사파동에 연루된 인물들이 ‘대미 영향력 공작’과 관련이 있었다고 밝혔다.

당시 김기삼 변호사는 "(김규현 원장 낙마를 원하는) 권춘택 1차장이 주미공사로 보내려 했던 사람은 천○○인데 서훈 전 원장의 최측근"이라며 "문재인 정부의 ‘대미 영향력 침투공작’의 핵심 인물이었다"고 밝혔다. 서훈 전 원장은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과 관련해 현재 재판을 받고 있다.

‘대미 영향력 침투공작’이란 미북종전선언→평화협정→미북수교→미군철수로 이어지도록 유도한 공작이다. 문재인 정부 때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북미 의장들과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 인사들은 미 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한반도 평화법’이 의회에서 통과되도록 로비를 벌인 바 있다. 김경협 당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한반도 평화법’ 통과를 위해 활동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이 이 공작을 벌이던 시기가 수미 테리 선임연구원에게 명품을 선물한 때와 겹친다.

미 연방검찰 기소장에 따르면 연방수사국(FBI)은 수미 테리 선임연구원에게 2014년부터 경고를 했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문제가 된 것은 명품 선물이었다. 정보전문가들은 "국정원이 왜 ‘명품 쇼핑’에 동행을 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