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기업에 낙하산 인사 논란이 불거지며 몸살을 앓고 있다.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과 얽혀있지만 업무와는 관련 없는 인사가 임원으로 임명되는 등 코드 인사가 줄을 잇고 있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7월 여야 대표들과 오찬 자리에서 "낙하산·보은인사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라"는 요구에 "그런 일은 없게 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허언이 되고 있는 셈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지난달 30일 신임 비상임이사(사외이사)로 김정범 법무법인 민우 변호사를 임명했다. 이사 임기가 종료된 박정훈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후임 인사다.
김 신임 이사는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이사, 한국문화진흥주식회사 비상임감사,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등을 지냈다.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했고, 19대 총선에서는 통합민주당 예비후보로 출마한 이력도 있다.
김 신임 이사 임명으로 정계에 직접 몸담은 이력이 있는 예금보험공사 임원은 4명으로 늘었다.
앞서 임명된 박상진 상임이사와 선종문 사외이사는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예비후보로 출마한 바 있고, 이한규 감사도 더불어민주당에서 정책위원회 정책실장을 지낸 정계 출신 인사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정계 출신 인사가 동시에 4명이나 금융공기업 이사회 자리를 차지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자산관리공사(캠코)는 내부 반발을 무시하고 비전문가를 임원으로 임명해 내홍을 빚고 있다.
자산관리공사는 지난 14일 주주총회를 열고 원호준 전 방위사업청 무인사업부장을 상임이사로 임명했다. 원 신임 이사는 기업 부실채권 인수, 취약기업 구조조정, 해양금융 등과 관련한 업무를 총괄하는 기업지원본부장을 맡을 예정이다. 이에 자산관리공사 노조는 "누가 봐도 상식 밖의 인사"라며 "출근 저지 및 퇴진운동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