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 코로나19 재택치료관리 상황실에서 의료진들이 재택치료 중인 코로나19 환자들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연합

당국이 재택치료키트나 자가격리 물품 등을 점검하고 배달하는 등 방역현장 지원 업무에 역량 있는 노인을 투입하는 사업단을 운영한다.

16일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2022년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을 통해 노인일자리 방역지원 사업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사업단은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하도록 코로나 대응체계를 전환한 것에 따라 재택치료자·자가격리자가 증가해 방역 현장의 업무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추진된다. 지난 14일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1만6292명에 달하고 자가격리자는 9만1938명에 이르고 있다.

주로 사회서비스형 유형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노인의 전문성과 역량을 활용하는 유형으로,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월 60시간을 근무하며 주휴수당이 포함된 월 급여가 최대 71만2800원으로 책정됐다. 현장 상황에 따라 공공형(만 65세 이상·일 3시간·월 급여 27만원) 등 여러 유형으로 전국 226개 지자체와 225개 보건소의 희망 수요를 반영해 운영할 예정이다.

사업단 주요 업무는 재택치료키트, 자가격리 물품 점검·배달, 지역사회 방역 등 지자체와 보건소가 수행하는 포괄적 방역 현장 지원이다. 안전·방역수칙 교육을 실시하고 개인정보 보호 교육도 이행할 예정이다.

노인 일자리를 활용한 방역사업은 복지시설이나 학교, 지역사회에서 기존에도 운영되고 있었다. 이번 사업단은 보다 역량 있는 노인들이 투입될 것으로 당국은 설명했다.

주철 복지부 노인지원과장은 "재택치료 키트배달 등 방역현장 지원이 절실한 지금 노인일자리 방역지원 사업단은 건강하고 경험을 갖춘 베이비붐 세대의 역량을 사회에서 환원해 국민 안전에 기여하는 의미있는 사업이다"며 "노인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노인일자리를 통한 긍정적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보건소 등 지자체와 노인일자리 수행기관 등 현장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