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합병증 발생률은 독감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치매나 심부전, 탈모 등 일부 질환에서는 독감보다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성호경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 교수 등 교수 공동 연구팀이 코로나의 합병증과 독감 합병증 유병률을 비교해 코호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 중 코로나 확진자 2만1615명과 독감 진단·항바이러스제 처방을 받은 238만696명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두 집단의 소화기, 근골격계 등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코로나 환자의 전체 합병증 발생률은 19.1%로 독감(28.5%)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나 근골격계, 천식, 폐렴 등 대부분 질환에서 합병증 상대위험도는 코로나가 독감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치매와 심부전, 기분장애, 탈모 등 일부 질환 합병증 발생률은 오히려 코로나 환자에서 높았다. 특히 고령이나 동반질환이 많은 환자의 경우 폐렴이나 심혈관질환, 심부전, 뇌혈관질환 등에서 발생률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 같은 중증 합병증 관리에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고 봤다. 특히 탈모 발생률은 20~44세 젊은 연령대에서 위험도 증가폭이 컸다.
이혜진 교수는 "코로나 환자에게 생기는 합병증에 대한 걱정이 많았으나 연구로 밝혀낸 바와 같이 코로나 합병증 발생률이 독감보다 낮다는 사실은 걱정을 조금 덜 수 있다"며 "하지만 합병증 증상이 경증이거나 무증상일 경우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추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합병증 비율은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미크론 등 변이 바이러스에 따라 합병증 양상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고 장기 합병증은 아직 알 수 없어 코로나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진용 서울대병원 교수는 "현재 코로나 합병증은 독감보다 높지 않으나 치명률은 더 높다‘며 "예방접종을 통해 코로나 치명률을 낮출 수 있다면 코로의 관리 전략도 독감과 같이 유증상 확진자 관리중심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