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춘식 “무증상 전파 이뤄지려면 기침 증상 있어야...이는 무증상이 아닌 유증상”
정부는 ‘코로나 감염 후 무증상’일 경우 확산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며 ‘자연면역’보다 ‘백신면역’의 이점을 설명하며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당국은 무증상 감염자의 타인 전파 통계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춘식 국민의힘 의원은 6일 질병관리청에 ‘국내 연령대별 코로나 무증상 감염자의 타인 전파 확산 통계’를 요구하자 질병청이 ‘해당 통계를 별도 관리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당국이 코로나 무증상 감염자가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해 감염될 수 있다며 공포심을 조장하고 있지만 정작 방역당국은 무증상 감염자가 타인에게 코로나를 전파·확산 시킨 통계자료조차 보유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간 질병청은 ‘코로나 확산 불명 사례가 더 증가하는 동시에 무증상 감염 전파도 가능하다’며 국민들에게 공포심을 조장하고 백신패스로 사실상 접종을 강제화했다는 것이 최 의원의 주장이다.
최근 당국은 코로나19에 감염된 이후 생성되는 ‘자연면역’이 있으니 변이를 타겟팅하지 못하는 백신을 맞을 필요가 없지 않느냐는 지적에 "감염 후 경증이나 무증상일 경우에는 면역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백신보다 방어 효과가 낮을 가능성이 있다"며 백신접종을 권고하고 나섰다.
또 최 의원실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은 치명률이 0%인데 왜 백신패스를 실시해야 하는가’에 대해 질의하자 질병청은 "청소년 무증상 감염이 많아 코로나 감염이 더욱 확산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최 의원은 "무증상자 타인 전파 감염 통계자체가 없는데 청소년들이 무증상 감염이 많아 코로나 확산 우려가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며 "또는 무증상 감염 전파 등 불명 사례가 증가할 것이라고 아무런 근거 없이 주장한 것이다"고 말했다.
코로나 감염 후 실제 무증상 상태일 수는 있다. 이는 잠복기 상태거나 자연면역에 의해 증상 자체가 없을 수 있다는 것이라고 최 의원은 설명했다. 무증상자가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이 사실상 일어나기 어려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코로나는 비말 등으로 타인에게 전파가 가능한데 이는 기침 등 증상이 전제돼야 하는 것이고 이는 무증상이 아니라 유증상"이라며 "즉 바이러스에 감염됐지만 면역체계에 의해 발병되지 않아 증상이 없으면 환자로 볼 수 없는 것이고 기침 등 증상이 없어 전파도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백신은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