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수혜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시총 4조5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엔비디아 로고. /연합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수혜로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시총 4조5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엔비디아 로고. /연합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관련한 대규모 투자 계약 체결이 잇따르면서 AI용 반도체 칩 시장을 석권한 엔비디아 시가총액이 30일(현지시간) 4조5000억 달러(약 6300조원)를 돌파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1일 현재 시총 552조7000억원 보다 11배가 넘는 규모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전장 대비 2.6% 상승한 186.58달러로 최고가 기록을 다시 세웠다.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조5420억 달러로, 처음으로 4조5000억 달러선을 넘어섰다. 대규모 데이터센터 계약 소식이 잇따라 전해지면서 AI 칩을 제공하는 엔비디아 주가를 연일 끌어 올리고 있는 모습이다. 이날도 미국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코어위브가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메타)과 최대 142억 달러 규모의 컴퓨팅 파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코어위브는 이날 공시를 통해 이 계약은 2031년 12월까지 유효하며, 추가 용량 확보 시 2032년까지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코어위브는 주로 AI 모델 훈련 및 대규모 AI 업무 실행에 필수적인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가 탑재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임대해 수익을 창출한다. 이에 이번 계약의 하나로 메타에 엔비디아의 최신 AI 가속기 GB300 시스템에 대한 이용 권한을 제공할 것이라고 코어위브는 설명했다. 앞서 코어위브는 지난 25일 오픈AI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공급하는 계약을 최대 65억 달러 추가 확대, 총계약 규모가 최대 224억 달러로 늘어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메타와의 이번 계약을 통해 코어위브는 고객을 한층 다양화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어위브의 가장 큰 고객으로 자리해왔다. 지난 2분기 기준 MS가 코어위브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1%에 달했다. 인트레이터 CEO는 "기업공개(IPO) 당시 우리는 고객 집중도 때문에 저평가받았다"며 "이번 계약은 다각화를 향한 분명한 한 걸음"이라고 말했다.

메타는 AI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컴퓨팅 파워, 인재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지난 4월 메타는 AI와 모델 훈련 및 운영에 사용되는 데이터 센터 등 올해 자본 지출이 최대 720억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발표했다. 메타와 대규모 계약 체결 소식에 이날 코어위브 주가는 11.7% 급등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