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4∼2024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로, 전 세대 중 가장 낮았다. 이어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나타났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 추세도 둔화하는 모습이다. 과거 5년(2014∼2019년)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최근 5년((2019∼2024년)은 연 1.1%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 부진이 청년층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먼저 최근 10년간 20대의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았다. 같은 기간 청년층의 실업률은 3.2%포인트(p·9.0%→5.8%) 낮아졌고, 고용률도 3.6%p(57.4%→61.0%) 높아졌다. 하지만 근로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 비율이 11.1%p(32.0%→43.1%)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이 떨어진 것이 청년층 실질소득의 낮은 증가율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외식비 상승에 따른 체감물가 상승도 20대 실질소득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5년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0.2%p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20대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2배 넘게 뛰었다.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돼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이 오히려 하락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