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분원 화재로 멈춘 국정자원의 전산 시스템을 28일부터 순차적으로 재가동하며 정상 서비스 가능 여부를 점검하기로 했다. 이날 오전까지 기획재정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일부 부처 전산망과 우체국 금융, 온라인 민원창구 등은 복구되지 않은 가운데 복구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3차 회의를 열고 "금일 새벽 5시경부터 항온항습기 복구를 시작해 1전산실부터 6전산실까지 성공적으로 가동을 완료했다"며 "현재 진행상황으로 볼 때 오늘 중으로 551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서비스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네트워크 장비도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가동하고 계속 진행 중"이라며 "화재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7-1 전산실 시스템들의 복구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되겠지만 우선 복구하는 551개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고 전 상황으로 복구해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산실 화재 이후 전반적인 피해 상황과 복구 진행 현황을 종합 점검하고 관계 부처 간 대응체계를 통해 시설 복구와 시스템 정상화에 착수하기로 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화재로 전소된 배터리 384개는 27일 오후 9시36분 화재 현장에서 모두 반출했다. 네트워크 장비도 28일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재가동에 들어갔으며, 핵심 보안장비는 총 767대 중 763대(99%) 이상 재가동을 완료했다. 국정자원 대전 분원에 있는 647개의 정부 전산 시스템 가운데 96개는 이번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소방과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이날부터 현장감식 등을 통한 화재 원인 조사를 본격화한다. 앞서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 국정자원 대전 분원 화재를 완전 진화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지난 26일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 대전 분원에서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발생한 화재로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전소됐다. 이 불로 1명이 경상을 입었고, 정부 업무 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이 중 436개는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였고, 행정 내부망 서비스는 211개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