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 애런타운에 있는 레하이밸리 국제공항에서 에어포스 원에 탑승하기 전에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 애런타운에 있는 레하이밸리 국제공항에서 에어포스 원에 탑승하기 전에 기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전쟁’의 마지막 관문인 미·중 협상을 놓고 숙고에 들어갔다. 미국은 중국과 지난달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제3차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관세 휴전’ 90일 연장 방안에 합의했지만, 그 결정을 최종 추인할 트럼프 대통령이 4일 오후(현지시간)까지 서명을 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심은 당장의 관세휴전 문제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오는 11일 만료를 앞두고 있는 중국과의 ‘관세휴전’을 연장한다고 해도, 90일 이내에 협상을 다시 해서 최종 결과물을 도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전쟁’을 통해 중국이 미국의 자리를 넘볼 수 없게 타격을 가할 수 있는 ‘묘수’ 찾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만약 관세휴전 연장 거부를 결정할 경우, 이번 주중 발표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관세휴전 연장을 포기하면 미·중관계는 다시 거센 소용돌이 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미·중 양국은 5월 제네바에서 열린 1차 고위급 협상을 통해 서로 100% 넘게 부과하던 관세(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를 각각 115% 포인트씩 대폭 낮추기로 합의했다. 특히 당시 양측은 각자 수입품을 겨냥한 추가 관세율 115% 가운데 지난 4월 매겨진 91%포인트는 취소하고 24%포인트에 대해선 적용을 90일 유예하기로 했다. 90일 유예기간이 끝나는 11일까지 유예 연장을 결정하지 않으면 미·중은 다시 ‘관세 치킨게임’에 들어갈 수 있다. 특히 휴전이 연장되지 안될 경우 관세는 물론이고 중국이 미국의 ‘아킬레스 건’인 희토류의 대미 수출, 미국이 중국을 압박하는 카드인 첨단 반도체의 대중 수출 등 서로를 향해 겨누었다가 일시 거두어들인 무기들을 다시 꺼내들 가능성도 농후하다.

그러나 중국과의 관세전쟁 재개가 가져올 파장을 감안할 때 트럼프 대통령이 일단 미·중 관세휴전을 연장해 놓고, 미·중 협상에서 주도권을 되찾을 방안 찾기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이미 동맹국들을 관세로 압박해 무역협상에서 성과를 거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휴전 연장을 포기하고 관세전쟁을 택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남은 퍼즐’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 러시아, 인도 가운데 가장 ‘만만한’ 인도를 압박하는 ‘첫 수(手)’를 뒀다.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을 친다’는 성동격서(聲東擊西) 전략이다. 중국을 치기 위해 인도 문제를 테이블에 올렸다는 해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대량 구입 문제를 지적하며 인도에 대한 관세를 "상당히 올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에도 인도에 대해 같은 문제를 지적하면서 25%의 국가별 관세(상호관세)와 함께 ‘벌칙’을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상호관세 발효일(7일)을 앞두고 인도와의 무역 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25%+α(알파)’의 관세율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인도를 압박한 것이다.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 문제를 거론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러시아 에너지 주요 수입국인 중국과 수출국인 러시아를 압박하려는 의중이 읽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 견제와 관련한 미국의 핵심 파트너인 인도를 압박하는 것이 결국 인도와 중국의 접근을 유도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전반적으로 꼬이게 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견제를 위한 ‘큰 그림’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