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공정 단계 ‘디지털화’ 지원 등 약속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4일 "조선업 미래 발전 5대 전략으로 조선강국을 넘어 세계를 선도하는 해양강국을 만들겠다"며 조선업 지원·육성 공약을 내놓았다.
이 후보는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조선업은 대한민국 수출을 이끌고 일자리를 만들어온 핵심 산업"이라며 "하지만 우리 조선업이 대전환의 갈림길에 놓였다. 기후 위기와 디지털 전환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조선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지속 가능한 성장전략이 절실하다"며 공약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이 후보가 발표한 조선업 미래 발전 5대 전략은 △스마트·친환경 미래 선박 시장 선점 △‘에너지고속도로’ 프로젝트 추진 △선박 제조 시스템 고도화 △중소 조선사의 경쟁력 강화 △특수선 건조 및 MRO(유지·보수·정비) 시장 개척 등이다.
먼저 스마트·친환경 미래 선박 시장 선점에 관해선 LNG 선박과 전기선박의 경쟁력을 높이고, 메탄올·암모니아·수소 등 친환경 연료와 선박용 배터리의 조기 상용화를 공약했다. 또 친환경 연료 추진선과 운반선, 화물창 국산화 등 초격차 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약속했다.
이 후보는 "앞으로 10년간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5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라며 "에너지고속도로 프로젝트를 조기에 추진해 해상풍력 선박의 내수 시장을 키우고, 동시에 세계 시장 진출의 발판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선박 제조 시스템 고도화에 대해선 "설계부터 생산, 물류, 품질관리, 안전까지 전 공정의 디지털화를 지원하겠다"며 "AI와 로봇으로 자동화율과 생산성을 높이고, 작업자들의 안전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은행의 선수금환급보증(RG)이 적기에 발급되도록 유도하고, 무역보험공사의 RG 특례보증도 확대해 수주 활동을 뒷받침하겠다"며 "윤석열 정부가 중단한 중소 조선사의 친환경 선박 R&D를 재개해 든든한 버팀목을 만들겠다"고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특수목적선 선진화와 특수선 MRO 산업 육성, 수요처 발굴 지원 등을 내세웠다.
한편 이 후보는 14일부터 15일까지 양일간 남해안을 순회하는 ‘국난 극복 이순신 호국 벨트 유세’에 나선다. 이번 일정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부산을 출발점으로 삼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적 상징 도시인 목포를 종착지로 선택해 정치적 의미를 더한 것으로 풀이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