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재 탄핵인용 5일째, 보수·우파 국민들 ‘尹 지지’ 집회 계속해

자유대한민국연대·자유통일당·자유대학 등, 탄핵 부당성 지적하며 尹복귀 요청
"비상계엄은 국민 깨우치기 위한 계몽...대통령님을 지켜주지 못한 국민의 책임"
"李 반드시 낙선시키고 죗값 받게해야 尹 희생 헛되지 않아"...우파 재정비 촉구
현실적으로 尹 대선 재출마 가능성은 희박...정치적 영향력 행사 대한 기대 남아

자유대학 등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보수·우파 시민들이 지난 8일 용산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 어게인’(Yoon Again) 집회를 열고 관저 앞까지 행진을 하고 있다. /연합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된 지 5일째가 지났지만, 다수의 보수·우파 국민들과 2030 청년들은 여전히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윤석렬은 여전히 우리의 대통령"이라며 다가올 조기 대선 승리를 위한 보수 진영의 재정비를 촉구했다.

보수·우파 시민단체인 ‘자유대한민국연대’는 지난 8일 오전 윤 전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 어게인’(Yoon Again) 집회를 열고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을 인정할 수 없다"며 "윤 대통령은 국민과 나라를 위해 희생했다. 여전히 윤석열은 우리의 대통령"이라고 외쳤다. 윤 전 대통령의 정계 복귀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많았다.

오후에는 광화문 애국시민들이 다수 당원인 ‘자유통일당’이 약 1만 명 규모의 집회를 신고하고 집회를 이어갔다. 참석자들은 "윤 전 대통령의 탄핵 과정은 비정상적"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병력 3000명을 동원해 대통령을 체포하고 구속한 것은 ‘내란 수괴’ 프레임을 씌우기 위한 과도한 조치"라고 지적했다. 헌재의 ‘8대 0’ 전원일치 탄핵 결정에 대해서도 "배신의 연속"이라고 일갈했다.

2030 대학생 연합단체인 ‘자유대학’도 이날 저녁 이태원역에서 대통령 관저 방향으로 행진을 진행하며 윤 전 대통령을 지지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비상계엄은 국민을 깨우치기 위한 계몽이었다"며 "대통령님을 지켜주지 못한 국민의 책임"이라고 외쳤다.

또한 오는 6월 3일로 예정된 조기 대선과 관련해 "어느 후보에게도 마음을 둘 수 없다"며 윤 전 대통령의 메시지와 지도력이 그립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재명을 반드시 낙선시키고 죗값을 받게 해야 윤석열 대통령의 희생이 헛되지 않는다"며 보수·우파 진영의 재정비를 촉구했다.

윤 전 대통령의 ‘대선 재출마’를 요청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박준영 자유대학 부대표는 이날 집회에서 "부정선거 의혹과 중국의 하이브리드전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은 윤석열 대통령뿐"이라며 "우리는 끝까지 함께 걸을 테니 제발 다시 한번 (대선에) 나와달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의 재출마는 현실적으로는 가능성이 희박하다. 대한민국 헌법 제70조에 따르면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중임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다만 조기 대선 전 ‘대통령 중임 허용’ 개헌이 이뤄지면 가능하지만 2달 안에 국회 재적 3분의 2의 찬성과 국민투표를 거쳐야 하므로 사실상 불가능하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다수의 보수·우파 국민들이 윤 전 대통령 지지 집회를 이어가는 이유는 헌재의 탄핵 인용 결정을 수용하지만 정당성은 인정할 수 없다는 측면이 크다. 현장 집회 뿐 아니라 현재 여러 소셜미디어(SNS)에서도 다수의 국민들이 ‘윤 어게인’ 등을 외치며 헌재의 파면 결정에 불만을 드러내고 있는 분위기다. 탄핵 반대 집회에서 목소리를 높여온 전한길 강사도 SNS를 통해 "다가오는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개헌을 통해 헌재를 가루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앞으로도 어떤 형태로든 여전히 윤 전 대통령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해 줄 것을 기대하는 마음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통령도 이를 의식한 듯 지난 4일과 6일에 국민변호인단을 통해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는 메시지를 낸 바 있다.

현재 윤 전 대통령은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이사를 준비 중이며, 반려견 문제 등으로 인해 제3의 단독주택으로의 이주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