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향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물론 국민의힘도 "아직 싸움이 남았다"며 더욱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연합
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향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물론 국민의힘도 "아직 싸움이 남았다"며 더욱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연합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이 취소되면서 여당과 ‘탄핵반대 시민’ 측은 물론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권과 ‘친중좌파 진영’이 각각 전열을 정비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 석방 여세를 몰아 대통령 탄핵 자체가 무산되도록 하겠다는 ‘투쟁 의지’를 보이고 있다. 검사 출신인 김웅 전 의원이 지난 7일 법리적 문제를 따져 ‘공소기각’ 가능성을 제기하자 국힘 내에서도 ‘내란죄 수사’는 공소기각 돼야 한다는 주장을 내고 있다.

나경원 의원을 필두로 일부 의원은 윤 대통령 구속영장 집행을 밀어붙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해체 법안 발의를 준비하고 있다. 9일에는 더 강한 논조의 공식 입장이 나왔다. 신동욱 국힘 수석대변인은 "오동운 공수처장에 대한 즉각적 수사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과 관련해 "공수처 수사권 논란, 허위공문서 작성, 판사 쇼핑과 영장 은폐, 불법 수사 등으로 사법 시스템은 대혼란을 겪었고, 국정은 마비됐다"며 "공수처 졸속·불법 수사는 처음부터 끝까지 무법에 거짓의 연속이었다"고 지적했다.

국힘은 또한 헌법재판소를 향해서는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평의를 원점에서 다시 시작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헌재가 선고기일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 10~14일 사이 탄핵 반대를 외치는 활동도 이어나갈 것으로 전해졌다.

탄핵반대를 외쳐온 시민들 또한 윤 대통령이 석방되자 "진짜 싸움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오히려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반대 집회를 이끄는 인플루언서와 시민단체 등은 서울 광화문과 여의도,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 외에도 매주 전국 곳곳에서 열었던 집회를 이어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다 윤 대통령이 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측근들에게 "오늘의 윤석열을 만든 건 아스팔트 위 지지자들 덕분 아니겠느냐"는 취지의 말을 했다는 보도가 나온 뒤 탄핵반대 시민들의 사기가 더욱 오를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자신들의 계산대로 윤 대통령 탄핵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했던 민주당과 조국당, 이들을 지지하는 ‘종북친중좌파’ 진영은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들은 충격을 받았음을 표내지 않고 ‘총력투쟁’을 선언했다.

먼저 민주당은 9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윤 대통령 구속 취소는 헌재 탄핵심판에 어떤 영향도 주지 못할 것"이라며 "내란수괴의 형량은 최소 무기징역이다. 제발 국민께 사죄하는 마음을 가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탄핵 카드’를 또 만지작거리는 모습과 헌재를 향해 "탄핵심판 빨리 결정내리라"고 호소하는 모습, 탄핵촉구 집회 총동원령 등에서 민주당이 얼마나 당혹해하는지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민주당만 믿고 따랐던 조국당은 "법원이 직권으로 윤석열을 구속하라"며 날뛰고 있다. "심상정 검찰총장부터 박세현 검찰 비상계엄특수수사본부장, 대검 지휘부를 전원 탄핵하라"는 주장까지 내놨다.

가장 충격을 받은 건 ‘종북친중좌파’ 진영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의 선봉에 섰던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이하 비상행동)’은 지난 8일 "공동의장들은 경복궁역 4번 출구와 서십자각에서 윤석열 파면 때까지 철야 단식농성을 한다"고 밝혔다. "민주주의 후퇴, 헌법 파괴, 법치주의 후퇴를 도저히 지켜보고 있을 수 없다"는 게 이들의 명분이었다.

하지만 민주당과 조국당, 비상행동 등이 윤 대통령과 국힘, 탄핵반대 시민들을 이기기는 어려워 보인다. ‘공정’이 펜앤마이크 의뢰로 지난 5~6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 지지율은 48%를 넘겼다. 실제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이보다 높다는 게 중론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