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 씨가 지난 1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부정선거 의혹제기 영상 가운데 한 장면. 더불어민주당은 당초 전 씨를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했다가 지난 22일 구글에 가이드라인 위반으로 신고했다. /유튜브 채널 ‘꽃보다 전한길’ 영상 캡처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 씨가 지난 1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부정선거 의혹제기 영상 가운데 한 장면. 더불어민주당은 당초 전 씨를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했다가 지난 22일 구글에 가이드라인 위반으로 신고했다. /유튜브 채널 ‘꽃보다 전한길’ 영상 캡처

더불어민주당이 한국사 일타강사 전한길 씨를 고발한 데 이어 여론조사 업체관리 강화법을 발의했다. 민주당은 이보다 앞서는 우파 유튜버들을 무더기로 고발했다. 그런데 이 모든 게 선거관리위원회와 관련이 있다. 때문에 세간에서는 민주당과 선관위 간에 어떤 비밀관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이 커지고 있다.

한국사 일타강사로 유명한 전한길(본명 전유관) 씨는 지난 1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꽃보다 전한길’에 "부정선거 의혹의 몸통은 선관위"라는 내용의 영상을 게재했다.

전 씨는 "(대통령이) 선관위 문제에 왜 나서게 됐는가 의구심이 들어 많은 조사를 해봤다. 자료를 찾아볼수록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선관위는) 감사원 감사도 거부하고, 국가정보원 조사에도 비협조적이었다. 감시받지 않는 절대 권력은 절대 부패하기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혼란은 선관위가 초래했다"고 역설했다.

전 씨는 또 윤석열 대통령의 부정선거 의혹 확인 주장부터 전자개표기 의혹 등을 언급하며 "우리도 대만처럼 완전 수개표로 선거를 치르자"고 주장했다. 전 씨의 영상은 이틀 만에 250만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전 씨의 영상이 폭발적인 인기를 얻자 22일 민주당이 나섰다. 민주당은 당초 "전 씨를 허위사실에 따른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민주당은 같은 날 "전 씨를 구글에 가이드라인 위반으로 신고했다"고 밝혔다.

민주당 국민소통위원회는 전 씨의 영상을 구글에 신고한 이유에 대해 "그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선관위는 이미 여러 차례 보도 자료를 통해 전자개표 방식이 조작될 가능성이 없음을 명확히 밝힌 바 있으며, 계엄군이 선관위 서버를 탈취하거나 관련 조작이 이루어진 적도 없다고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 씨의 영상은 현재 민주파출소에 186건 신고가 들어왔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민들은 민주당의 해명을 들으며 이상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윤 대통령을 비롯해 우파 진영에서 꾸준히 지적해 온 부정선거 의혹의 몸통은 중앙선관위다. 그런데 중앙선관위에게 제기한 의혹을 민주당이 먼저 나서서 막고 있는 게 수상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법원이 선관위를 장악하고 있는 현실에서 민주당과 법원 간의 ‘커넥션’이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있다.

실제 민주당의 선관위 감싸기는 이 정도에서 끝나지 않는다. 여론조사 업체에도 손을 대려는 모양새다. 민주당 한민수 의원, 박성준 원내운영수석부대표 등 친명계 의원 10명은 지난 21일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내용은 여론조사 업체를 사실상 국회에서 통제하겠다는 내용이다.

현재 여론조사 방식과 발표 등은 중앙선관위 산하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서 맡고 있다. 조사 문항이나 조사방식 등에 문제가 있는 여론조사는 발표를 금지하고 있다. 그런데 민주당은 여기에서 나아가 여론조사 기관 등록요건을 법률로 정하고 국회가 통제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여론조사 기관은 의무적으로 정기점검을 받고, 문제를 일으켜 등록 취소된 여론조사 기관의 재등록 신청 기간을 제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언론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역전되자 친명계가 나선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하지만 선관위 산하조직이 맡는 여론조사 관리를 민주당이 직접 맡으려는 모습은 정당과 선관위 간 관계가 정상은 아닌 것 같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