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참여하는 공조수사본부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기한 연장에 나선 가운데 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향하는 도로에 철조망이 설치되어 있다. /연합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재집행 시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가 있는 공관 구역에는 무겁고 삼엄한 분위기가 흘렀다.

관저 출입을 막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대통령경호처와 집행 방해 시 대통령경호처 직원들을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다는 수사기관 사이에 강대강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1차 체포영장 유효기간 만료 다음 날인 7일 관저 철문 바깥엔 버스 한 대가 가로로 세워졌고, 문 안쪽엔 버스 6대가 사람 한 명 지나가기도 힘겨워 보일 정도로 겹겹이 주차돼 있었다. 지난 3일 문 안쪽에 버스 한 대만 가로막고 있던 것과 비교하면 입구 봉쇄가 훨씬 강화됐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 인력이 2차 저지선을 우회해서 지나갔던 공관 구역 안쪽 산길엔 윤형 철조망이 설치돼 있었다. 경호처가 두 번째 체포영장 집행에 대비하고 나서면서 공관 구역은 그야말로 요새를 방불케 변했다.

박종준 경호처장은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입건된 상태에서 경찰의 출석 요구에 불응하면서 공관 구역 안에 머물면서 경호를 지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에 따르면 경호처장의 관사는 대통령 관저와 가까운 곳에 있다.

이런 상태에서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체포영장 재집행을 위해 대테러부대인 경찰특공대 투입 등을 검토하고 있다. 1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에도 이를 검토했지만 투입을 결정하진 않았다.

하지만 1차 체포영장 집행 이후 경호처가 버스를 추가 배치하고 철조망을 설치하는 등 경비태세를 크게 강화한 상황이라 특단의 대책을 취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경찰 출신 이지은 더불어민주당 마포갑 지역위원장은 SNS에서 "경찰특공대 화력과 압도적 인원으로 처음부터 경호관 항거 의지를 분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수처가 전날 경찰에 체포영장 집행을 일임하려다가 다시 번복한 상황인 만큼 국수본이 이번 체포영장 집행엔 주도권을 가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수본은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성사시키기 위해선 추가 인원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1차 때 수사관 120여명 및 질서·안전 등의 목적으로 기동대 2700여명을 투입했던 국수본은 경호처의 ‘인간 벽’을 뚫기 위해서도 추가 인원 투입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당시 경호처는 자체 인력 및 군(軍)을 동원해 스크럼을 짠 인간 벽을 세웠다. 이들 중 일부는 개인화기까지 무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저 200m 앞쪽을 약 200여명이 서로 팔짱을 끼고 저지선을 구축했던 것이다.

아울러 국수본은 영장 집행을 방해하는 경호처 인원에 대해 적극 체포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이 발부한 영장 집행을 실력 저지하는 건 특수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한다는 설명이다. 지난 1차 때도 경호처 수뇌부 등에 대한 체포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공수처의 만류로 무산됐었다.

박종준 경호처장 등 특수공무집행방해죄로 입건된 경호처 관계자들이 출석에 불응하고 있는 상황도 강제수사의 요인으로 보고 있다. 박 처장은 지난 4일 한 차례 소환 요구에 불응한 데 이어 7일엔 변호인 선임이 안 돼 출석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서부지법은 공수처가 연장 기한을 위해 다시 청구한 체포영장 발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