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경남 사천시 은성중공업에서 열린 ‘서울 한강버스 진수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
오세훈 서울시장이 25일 경남 사천시 은성중공업에서 열린 ‘서울 한강버스 진수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

서울시는 한강을 떠다니는 대중교통수단인 ‘한강버스’의 실물을 최초로 공개했다. 한강버스는 내년 3월부터 시민들을 태우고 출퇴근 시간 15분 간격으로 평일 하루 68회(주말 48회) 운항한다.

25일 서울시는 경남 사천시 은성중공업에서 한강버스 누리호를 바다에 띄우는 진수식(進水式)을 진행했다. 서울시는 한강버스 12척을 도입할 예정으로 이 가운데 2척(누리·가람호)을 건조했다. 서울시는 가람호를 이틀 뒤 진수하고 나머지 선박도 순차적으로 인도받을 예정이다. 이날 행사엔 오세훈 서울시장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한강버스는 마곡, 망원, 여의도, 잠원, 옥수, 뚝섬, 잠실 등 총 7개 선착장에서 운항하게 된다. 한 번에 199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요금은 3000원이다. 서울시는 이날 그간 궁금증을 더했던 한강버스의 내·외부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한강버스 관계자는 "(2개의 선체를 결합한) 쌍동선(카타마란) 형태로 속도감 있게 운항하면서도 항주파(선박이 항해하면서 일으키는 파도) 영향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면서 "잠수교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선체의 높이는 낮게 했고, 연료 효율성 등을 고려해 유선형으로 제작했다"고 소개했다.

한강버스의 색상은 일출·낙조 등 한강의 다양한 색과 빛을 투영할 수 있도록 흰색 기본 바탕에 파란색을 그라데이션(점점 짙어지거나 옅어지는 기법)으로 표현했다. 한강의 반짝이는 윤슬(햇빛이나 달빛에 반짝이는 잔물결)과 시원한 물살을 떠올릴 수 있게 했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내부는 한강의 풍광과 서울 도심의 풍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파노라마 통창이 설치됐다. 카페테리아에선 간단한 식음료를 구입해 개인 좌석별 테이블에 놓고 쾌적한 이동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서울시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선박으로 건조된 한강버스의 추진체가 배터리 화재로부터 안전하도록 다양한 대책도 마련했다. 배터리 시스템 내부의 가스 센서를 설치해 화재 징후를 미리 감지할 수 있도록 했고, 배터리 과충전 방지, 배터리셀 연쇄 폭발 방지, 열폭주 시 가스 분사 소화, 유사시 배터리 함체 침수 등 4중 안전장치를 갖췄다.

하이브리드 추진체를 제작한 카네미모빌리티 관계자는 "배터리 및 전력변환장치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추진체 시스템의 95% 이상을 국산화했다"며 "기존 외국산 제품의 문제 발생 시 부품 수급 지연 및 과도한 수리 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도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이번에 공개한 2척의 선박들에 대해선 은성중공업 인근 앞바다에서 해상 시험 및 시운전 등을 통해 선박의 기능과 안전성에 대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검증을 거친 후 다음달 중 한강으로 인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머지 선박 6척과 예비선박 등의 추가 선박 4척도 정상적으로 건조해 순차적으로 한강에 인도한단 계획이다. 또 선박의 한강 인도 일정에 맞춰 단계적으로 선박 및 설비 검증, 인력 훈련, 항로 검증, 비상 대응 훈련 등의 시범운항을 실시해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