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산책로 9km 건설...홍수 관리-환경 영향 등 논란
태국 수도 방콕에 한국의 청계천을 벤치마킹한 도심 운하 공원이 성탄절인 25일 일부 개장했다. 그러나 홍수 관리 및 폐수 처리를 비롯해 사업 투명성까지 문제가 있다며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간 방콕포스트는 ‘총 논시에서 만나는 서울 느낌’이란 기사에서 ‘총 논시’ 운하 공원의 1단계 중 200m 구간이 시민들에게 문을 열었다고 26일 보도했다. 방콕시는 사톤가(街)에서 나라티와 라짜나가린드라 7지역까지 이어지는 ‘총 논시 운하 공원’을 오는 2030년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방콕 풍경을 더 아름답게 하고, 시민 1인당 녹지공간을 오는 2030년까지 현재의 1인당 7.09㎡에서 10㎡로 늘리기 위한 프로젝트라고 시는 설명했다. 전체 5개 구역으로 나뉘며, 수와롱가~짜오프라야강까지 양 쪽 산책로 총 길이가 9㎞에 달할 예정이다.
방콕시는 약 10억 바트(약 355억 3000만원)에 달하는 이 거대 사업 모델로 청계천 복원사업을 선정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지난해 10월 기자회견을 통해, 이 사업이 처음 공식화된 뒤 너무 급하게 추진됐다고 지적했다. 또 관련 정보도 제한됐으며 공공의 의견 취합 역시 부족하다는 주장이다. 쭐라롱껀대 건축학부 도시지역계획학과 니라몬 세리사꾼 조교수는 중심상업지구 내에 위치한 대규모 도심 프로젝트라는 점을 제외하면 청계천 복원사업과 전혀 다르다고 역설했다.
니라몬 조교수는 청계천 프로젝트는 강남처럼 빠르게 성장하는 상업 지구에 의해 경쟁력을 잃고 있는 중심 상업지구 활성화를 위해 진행된 도심 개발 계획이라며, 10만개에 달하는 기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면 총 논시 운하 공원은 2km 길이를 따라 200개의 상점과, 400개의 사무실 건물이 존재할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운하 한가운데 건설되는 공원이 과연 폐수 처리가 가능할 지 의문이라며, 만약 이 수로가 배수 기능을 상실할 경우 어떻게 홍수 위험을 줄일지 방콕시 측은 제시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소요 예산과 환경영향 평가 등 여러 부문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방콕시 측은 이해 당사자들로부터 충분한 의견을 듣고 취합했다는 입장이다. 이미 지난 2007년 ‘태국판 청계천’ 프로젝트로 관련 구상이 이뤄졌으며, 2011년 컨설팅 업체를 통해 디자인과 비용 조사가 시작되는 등 충분한 사업 기간을 거쳤다고 반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