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성인-소아청소년 복용...입원-사망 확률 88% 감소 효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2일(현지시간)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 알약 ‘팍스로비드’ 사용을 최초 승인했다. /로이터=연합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2일(현지시간) 제약사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 알약 ‘팍스로비드’ 사용을 최초 승인했다. /로이터=연합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2일(현지시간) 화이자가 개발한 코로나19 치료 알약 ‘팍스로비드’ 사용을 최초 승인했다. 병원 밖에서도 고위험 성인 환자, 12세 소아 내지 청소년(몸무게 최소한 40kg)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알약을 사용할 수 있다.

화이자는 이날 FDA로부터 이 알약의 가정 내 긴급 사용을 허가받았으며, 미국에서 즉시 ‘팍스로비드’를 납품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처방전만 있으면 쉽게 구입해 쉽게 복용할 수 있다. 오미크론 퇴치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기존의 코로나 치료제는 링거용 또는 주사제였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 감염 증상이 나타난 직후부터 5일 동안 12시간마다 총 30알을 먹어야 한다. 화이자가 개발한 알약 ‘니르마트렐비르(nirmatrelvir)’와 이미 시판 중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용 항바이러스제 ‘리트로나비르’를 함께 복용하는 방식이다.

화이자에 따르면 니르마트렐비르는 코로나바이러스가 감염자의 체내에서 복제되면서서 복제 효소 작용을 차단하는 기능, 리트로나비르는 니르마트렐비르의 체내 분해를 늦춰 효능을 높이는 역할을 각각 담당한다. 앞서 화이자는 자체 임상에서 5일간 팍스로비드를 2200명에게 투여한 결과, 입원·사망 확률을 88%가량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바 있다.

머크가 개발한 코로나 알약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는 아직 FDA의 심사 중이다. 지난달 30일 FDA 자문위원회의 승인 권고를 받았지만, 최종 결정은 나지 않고 있다. 머크는 당초 임상 결과, 입원·사망 예방 효과가 50%라고 밝혔지만 심사 과정에서 30%로 줄었으며, 임신부 사용 시 기형 위험 등의 우려가 제기돼 승인이 보류됐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