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백신접종과 PCR검사가 방역의 최선이 돼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수적인 PCR검사 과정에서 오히려 감염확산이 발생할 수 있고 예산이 비효율적으로 낭비될 수 있다는 우려다.
2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기본방역 수칙에도 맞지 않고 국민 상식에도 어긋나는 코로나19 대책 이제는 바꿔야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국민들의 공감을 얻고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델타변이보다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감염자를 찾겠다며 하루 수십만 명이 줄서서 검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감염의심자와 함께 동선을 사용하며 호흡해 감염 확산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청원인은 "이런 선별진료소 운영은 정부 정책 기본 수칙에 어긋나는 방법이다"며 "사회적거리두기를 시행하고, 감염자와 동선이 겹친다는 이유로 전수검사를 명령하고 불복할 경우 범칙금을 부과하는 수칙과 어긋난다"고 말했다.
또 오미크론 최초 감염자 목사 부부와 식당주인 감염을 봤을 때 마스크를 뚫고 감염시킬 수 있는 바이러스라고 우려했다. 이밖에도 전수적인 PCR검사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세금낭비도 꼬집었다.
청원인은 "질병청과 전문가집단들은 PCR검사가 오미크론 변이를 잡아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알면서도 경제적 이득을 위해 하루 70만 명 이상을 검사해 1000억원이 넘는 세금을 쏟아 붓고 있다"며 "PCR검사보다 훨씬 저렴하고 감염의심자와 섞일 우려도 없는 자가신속항원 진단키트를 사용해 1차 양성자를 선별하고 PCR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상식에 맞고 납득 가능한 대책으로 국민이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고 자유롭고 안전한 일상생활을 누릴 수 있는 대책을 펼쳐 수도권 주민들에게 무상으로 자가키트를 보급하고 일정 시간에 검사를 하도록 해 감염 확산을 막아달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