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소녀상을 제작한 조각가 부부 김운성·김서경 작가가 소녀상 건립 10주년을 이틀 앞둔 12일 연합뉴스와 인터뷰했다. 이들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만든 평화의 소녀상은 2011년 12월 14일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 수요시위 1천 회를 기념해 처음 세워졌다. 정의기억연대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으로 소녀상은 국내 144기·국외 16기(철거 제외)로 늘었다.
김 운성 작가는 2016년부터 정의연 이사로 활동 중이다. 김씨 부부의 인터뷰 내용엔 짚고 넣어가야할 몇가지 쟁점이 있다. 위안부의 존재는 엄연한 비극이며 그 사실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할머님들을 모욕한 게 아니라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현실 비판이 있었을 뿐이다. 정의기억연대를 둘러싼 여러 논란 속에 여론의 공격이 이어진 상황을 두고, 김운성 작가는 ""역사 수정주의자들과 일부 우익이 할머님들을 모욕하는 걸 보면 슬프다"고 말했다.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
문제의 핵심은 일제가 조직적으로 관여한 ‘강제연행’이었나 하는 점이었다. 우리나라 위안부 관련 특별법 제2조에 따르면, 위안부란 ‘일본군경에게 강제연행돼 일본군 위안소에서 일한 여성’으로 정의된다. 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는 현재까지 등록된 240명 할머니들 가운데 발견되지 않는다. 취업사기 또는 본인도 모르게 친권자나 친족에 의해 이뤄진 계약 때문에 끌려간 경우밖에 없다. 이 문제의 현실은 식민지 조선의 빈곤과 무지 속에 발생한 비극이라는 측면을 너무 도외시하고 있다.
"전쟁으로 많은 사람이 죽고, 강간당하고, 핍박당하는 현상은 한국만의 특수한 경험이 아니다." 이 말을 부정할 사람은 없다. 단 "독일 등 해외에서도 식민 지배와 여성 인권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만큼 소녀상을 통해 연대가 이뤄지고 있다"는 발언엔 어폐가 있다. 할머니들의 다양한 사연 등 관련 팩트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선의 순결한 소녀가 일본군에게 끌려가 유린당했다"는 정의연 식 ‘위안부 서사’가 일방적으로 통용된 결과다. ‘강제연행’ ‘성노예’를 키워드로 UN 보고서까지 이끌어냈으나, 추후에 증거 부실이 드러나며 UN은 한국 측의 과도한 민족주의에 우려를 표한 바 있다. 특히 UN에서 증언한 이용수 할머니 등은 ‘성노예’ 표현을 거부했으나 정의연이 밀어붙인 것으로 밝혀졌다.
소녀상 저작권 문제 또한 물의를 빚었다. 2020년 6월 시점까지 95점이 팔렸고, 개당 가격은 3300만원. 3000~25000원 짜리 소녀상 관련 소품들은 정의연의 수익사업이다. 김씨 부부는 "작가로서 창작물을 인정받고자 하는 당연한 권리 주장인데도 이에 대한 문제 제기가 왜곡돼 타격을 받았다"며 "가능한 역할을 꾸준히 하면서 소녀상 기증·기부도 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들 작가의 소녀상은 10대 중반의 순결한 소녀를 이미지화하고 있다. 할머니들 가운데 미성년 때 끌려간 예가 없기에, 소녀상이 역사적 사실을 허구적으로 재구성한 결과물이라는 비판이 일찍부터 있었으나 철저히 매도당했다. 이 비극에 대한 바람직한 해결을 진정으로 원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당시 수요시위는 모이는 사람이 점차 줄어들며 쇠하는 상황이었는데, 1천회째 수요시위 때 소녀상이 세워지면서 다시 사람들이 모여드는 계기가 됐다." 김씨 부부의 이 회고는 소녀상이 진실을 담기보다 정치적 메시지이자 선동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고백처럼 들린다.
10년 뒤 희망사항을 묻자 두 작가는 단번에 ‘일본의 사과’라고 답했다. "소녀상이 더 많이 알려져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으면 좋겠어요. 일본도 극우화를 멈추고 민주화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때까지 우리는 잘 버틸 겁니다." 김씨 부부의 말이다. 일본 정부는 이미 30여 차례 사과했으면 총리의 직접 방문·위로금 지급 등으로 일정한 도의적 책임을 표해왔다. 다만 국가의 조직적 관여에 의한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한국 측 요구에 난색을 표해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