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권력 로드맵에 적신호 켜질 수도
김민석, 서울시장 아닌 당권 도전 확실 주장 나와
정청래-‘이재명 아바타’ 간 권력투쟁 양상 빚어질 수도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2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민주당 서울시당 ‘천만의 꿈 경청단’ 출범식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

튀르키에 국빈 방문을 마지막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순방 외교가 끝나면서 26일 이 대통령의 귀국이 여권의 권력투쟁 구도에 어떻게 작용할지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이 국내를 비운 사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헌·당규 개정을 밀어붙임으로써 당내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만큼 이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정리하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을 거라는 점에서다.

25일 정치권 안팎에선 이를 두고 여러 가지 관측과 주장이 쏟아졌다.

이 대통령이 귀국하면 우선 순방 외교의 성과를 설명하는 데 치중하면서 당헌·당규 개정에 대한 언급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예상이다. 자칫 당무 개입 오해를 살 우려도 있거니와 순방 외교 성과를 희석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친명(이 대통령)계와 친청(정청래 대표)계 갈등으로 비화한 사태를 방관하고 있을 수만 없는 데다가, 무엇보다도 여권 내 권력 지형의 변동을 가져올 사안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 대표 의지대로 민주당의 당헌·당규가 개정되면 여권 내 권력 축의 중심이 이 대통령으로부터 정 대표로 옮겨갈 수 있어 이 대통령으로서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이언주 최고위원, 강득구 의원, 유종군 의원 등과 최대 친명계 모임인 더민주혁신회의가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이 대통령 지지자들이 소송을 준비하는 등 반발하는 것도 그래서이고, 이들의 반발이 이 대통령 의중과 무관치 않을 거라는 이야기도 있다.

초점은 이 대통령이 어떤 논리로 대응할 것이냐로 모인다. 이 대통령은 당원 주권 강화에는 공감을 표하면서도, 민주당이 전국정당을 지향하는 만큼 영남의 과소 대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찾도록 당이 충분한 시간을 갖고 의견을 모아주기를 바란다는 쪽으로 원칙적인 입장을 표명할 것이라는 게 다수 의견이다.

이와 관련, 정 대표 행보에 제동을 건 바 있는 유종군 의원은 25일 KBS1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호남의 인구수는 전체의 10%이지만 권리당원 비중은 35%인 데 반해 대구·경북 인구는 10%인데 권리당원 비중은 2%도 안된다"며 "김대중 대통령 이래로 지향해 온 전국정당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지금까지 나온 반대 주장이 개별 의원이나 당 외부 단체 수준이었으나 이 대통령이 같은 뜻으로 한마디 하면 정 대표로서도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없어 정 대표의 권력 로드맵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김민석 국무총리의 민주당 차기 당대표 출마가 확정적이라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25일 CBS 라디오뉴스에 출연한 자리에서 김 총리의 향후 정치 행보와 관련해 "내년 서울시장 선거가 아니라 8월 전당대회를 통한 당대표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취재를 토대로 한 분석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장 소장은 "대통령실은 지방선거보다는 전당대회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만약 정청래 대표가 전당대회에서 재선에 성공한다면 이재명 대통령이 당내 권력을 상당 부분 잃게 되고, 조기 레임덕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결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1%도 변동 가능성이 없다"며 김민석 총리의 전당대회 출마가 확정적이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같은 방송에 출연한 김준일 평론가는 "2026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정청래 대표를 중심으로 계파가 당권을 사실상 장악하게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평론가는 특히 "지방선거 이후인 2026년 8월 전당대회에서 정청래 대표가 재선에 성공하면, 2028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며 "이 경우 여당 소속 의원들은 대통령보다는 당대표에 더 의존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대통령의 영향력이 급속히 약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차기 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정 대표와 ‘이재명 아바타’ 간 권력투쟁 양상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