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근 하버드대 교수가 삼성전자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 원장(사장)에 선임됐다.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이 겸했던 SAIT 원장 자리를 이어받아 미래 반도체 기술 연구에 주력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1일 박홍근 교수를 SAIT 원장으로 신규 위촉한다고 발표했다. 입사 예정일은 내년 1월 1일이다.
1967년생인 박 신임 원장은 25년 이상 화학·물리·전자 등 기초 과학과 공학 전반의 연구를 이끌어 온 글로벌 석학이다.
박 신임 원장은 서울대 화학과에 수석으로 입학해 서울대 전체 수석 졸업 후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화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에서 연구원을 거친 뒤 1999년 32세의 나이에 하버드대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됐다.
이어 4년 만인 2003년에 부교수로 승진했고, 다음 해인 2004년에는 종신교수(테뉴어) 자리를 얻어 한국인 최초로 하버드대 종신교수가 됐다.
세계 최초로 단분자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고, DNA나 생화학무기를 검출할 수 있는 단(單)분자센서와 탄소나노튜브 센서를 개발한 박 신임 원장은 나노분야 세계 권위자 반열에 올라 있는 학자로, 노벨상에 근접한 과학자로 꼽힌다.
그는 1나노미터까지 접근시킨 두 금속 전극을 분자 1개(바나듐)로 연결할 경우, 트랜지스터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해 단분자 트랜지스터의 가능성을 제시한 업적을 인정받아 2003년 역대 최연소로 제13회 호암상 과학상을 수상했다.
아울러 2021년 삼성전자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집필한 차세대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인 뉴로모픽에 관한 주제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게재되기도 했다.
박 신임 원장은 SAIT를 이끌며 나노 기술 전문성 및 학문 간 경계를 뛰어넘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양자컴퓨팅, 뉴로모픽 반도체 등 미래 디바이스 연구를 주도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