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수출호조로 대미흑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미국 재무부의 환율 관찰대상국 명단에 다시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연합

우리나라가 미국 재무부의 환율 관찰대상국 명단에 다시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올들어 수출 호조로 대미 무역 흑자와 경상수지 흑자가 확대된데 따른 것이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이르면 이달 중 환율조작국 및 환율 관찰대상국 지정 등의 내용을 담은 ‘환율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미 재무부는 반기마다 주요 교역국의 환율정책과 외환시장 개입 여부를 평가한다. 지난 6월 보고서에서 한국·일본·독일·대만 등 9개국이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됐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두 차례 연속 명단에 올랐다. 미 재무부는 ▲대미 무역흑자 150억 달러 초과 ▲국내총생산(GDP) 대비 3% 초과 경상수지 흑자 ▲GDP의 2% 이상 규모의 달러 순매수 8개월 이상 지속 등 세 가지 기준 중 두 가지 이상을 충족하면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한다. 세 가지를 모두 충족하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다.

이번 환율보고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 상반기 실적을 살핀다. 우리나라는 대미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등 2개 기준을 넘어, 환율 관찰대상국 명단에 포함될 전망이다. 대미 무역흑자는 지난해 하반기와 올 상반기 538억 9000만 달러로 기준치를 넘겼다. 이 기간 경상수지 흑자도 1082억 1000만 달러나 된다. 이는 지난해 명목 GDP의 5.77% 수준으로 기준치(3%)를 크게 웃돈다.

다만 환율조작국으로 분류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인다. 3가지 기준 중 ‘GDP 2% 이상 규모의 달러 순매수’ 기준에 미달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외환당국의 지난 3분기 외환 순거래액은 매도 1억 9200만 달러, 4분기 매도 37억 5500만 달러였다. 올해 1분기에는 매도 29억 6000만 달러, 2분기 매도 7억 9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외환당국이 달러를 매수한 금액보다 매도한 금액이 73억 2000만 달러 많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