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어린이 영양 개선 등 앞세워 고집하고 있어
인도네시아에서 아동 대상 무상급식으로 인한 식중독 피해가 늘고 있는 가운데 관련 공약을 내건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고집을 꺾지 않고 있어 논란이다.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일부 문제가 있지만 오류 가능성은 0.00017%에 불과하다"며 "피해자 비율이 적고 아직 프로그램이 기반을 다지는 중임을 고려해 무상급식 사업을 중단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작년 10월 취임한 프라보워 대통령은 앞서 지난 1월부터 임산부를 비롯해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제공하겠다는 야심 찬 공약을 내걸었다. 8300만 명까지 급식 제공 대상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에서 5세 미만 어린이 5명 중 1명이 영양실조로 인한 질병에 걸리는 만큼 공적 이니셔티브를 통해 어린이 발육 부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이 프로그램이 많은 어린이의 영양 개선과 일자리 창출, 농어업 등 지방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무상급식을 먹고 식중독 증세를 호소한 환자들이 8월 이후에만 6000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분이 일고 있다. 무상급식 프로그램이 시작된 1월 이후부터 집계하면 8000명을 훌쩍 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이 연일 공개되면서 비정부기구 등 시민 사회에서 무상급식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늘고 있지만 당국은 강행한다는 입장이다.
프라보워 대통령은 "브라질은 (무상급식) 수혜자 4000만 명을 확보하는 데 11년이 걸렸다"며 "현재 상황에 만족한다는 건 아니지만 이 정도로 노력한 것은 세계 역사상 첫 시도인 것 같다"고 자평했다. 각 주방에 식품 품질 검사 장비, 트레이 살균기, 정수 필터, 중앙정부와 연결된 CCTV를 설치해 모니터링하라는 명령도 내렸다.
당초 이번 무상급식은 사업이 시작되기 전부터 너무 많은 예산이 드는 탓에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는 비관론이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내년도에 책정된 관련 예산은 335조 루피아(약 28조 1735억 원)로, 2025년 예상 지출액인 99조 루피아를 세 배 이상 뛰어넘었다. 여기다 식중독 사례가 수차례 보고되고 있는데도 당국은 무상급식 프로그램을 강행한다는 입장이어서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BBC는 "프라보워 대통령은 취임 이후 무상급식 이니셔티브를 포함해 주택 공급, 무료 건강 검진 등 포퓰리즘 정책들을 내세우며 정치적 입지를 굳건히 했다"며 "집권 100일 만에 대통령의 지지율은 80%를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