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여권 판 흔들기 파괴력 충분...권력구도 재편 가능성
지난 총선 광주·전남 비례서 '더불어민주연합'도 누른 저력

초강경 정청래, 당 최고위원에 '반명'에 가까운 서삼석 임명
尹-韓 관계 파국의 균열로 몰고 간 '한동훈의 길' 갈 전망도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민중심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정청래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국민중심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정청래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연합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첫 사면의 후폭풍이 거세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민감한 입시 비리 사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후원금을 빼돌린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된 윤미향 전 의원을 비롯한 정치인 사면복권에 대해 이 대통령 강성 지지자들을 빼고는 대다수 국민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는다.

12일 정치권 안팎에서 "이 대통령이 지난 2021년 대선 당시 조국 사태와 관련하여 ‘공정 훼손은 잘못’이라고 사과함으로써 조국의 강을 건넜는데, 이번 사면으로 다시 조국의 강에 빠졌다"는 소리가 나왔다. 윤 전 의원의 사면에 대해서는 "이 대통령 지지율이 하락했는데 민심의 분노 마일리지는 지금도 쌓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 여론과는 별개로 특히 조 전 대표 사면이 불러올 사태(?)를 놓고 정치권에서는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우선 제기되는 논란은 조 전 대표가 8.15 특사로 출감된 후 곧바로 정치활동을 재개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언론의 스포트라이트가 이 대통령보다 조 전 대표에게 쏠릴 가능성이다.

정치권에서는 조 전 대표가 범여권의 정치 판도를 뒤흔들 파괴력을 갖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조국혁신당이 지난해 4월 총선과 10월 전남 영광군수·곡성군수, 지난 4월 전남 담양군수 재선거에서 받아 든 성적표가 조 전 대표의 파괴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다.

지난 총선에서 광주·전남은 ‘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는 조국혁신당’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조국혁신당이 민주당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을 앞섰다.

조국혁신당은 광주에서 47.72%로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며 36.26%에 그친 더불어민주연합을 압도했다. 조국혁신당은 전남에서도 43.97%를 득표해 39.88%의 더불어민주연합을 큰 차이로 제쳤다.

영광군수·곡성군수 재선거에서는 민주당이 각각 41.09%와 55.26%로 신승했으나 담양군수 재선거에서는 조국혁신당 정철원 후보가 51.8% 득표율로 당선됐다.

조 전 대표 이상으로 이재명 대통령에게 집중되어야 할 언론 스포트라이트를 분산시킬 인물로 꼽히는 사람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다.

그는 당대표 당선 당시 이미 이 대통령을 가리고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제1야당인 국민의힘을 향해 "악수하지 않겠다", "악수는 사람하고 하는 것" 등 극단적인 발언으로 여야 협치를 강조해 온 이 대통령과 엇박자를 내 주목을 받았다. 또 이른바 3대 특검을 "폭풍처럼 몰아쳐 전광석화처럼 끝내겠다"고 기염을 토하며 민주당 지지자들을 열광케 했다.

하지만 그건 1라운드에 지나지 않았다. 정 대표는 지난 6일 민주당의 지명직 최고위원에 서삼석 3선 의원(전남 영암·무안·신안군)을 임명했다.

정 대표는 이에 대해 "호남의 역사와 정신이 당 운영 전반에 반영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지명 취지를 밝혔으나 정치권이 보는 시각은 다르다.

홍석준 전 국민의힘 의원은 12일 한 유튜브 채널에서 "서삼석 의원은 이낙연 전 대표의 특보 출신인 데다가 이재명 대통령 체포동의안에 찬성했던 인물"이라며 "그런 사람을 지명직 최고위원에 임명했다는 건 정청래의 색깔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 전 의원은 이어 "(그동안의 행보에 비추어) 정 대표는 반명에 가깝다"며 정 대표가 이 대통령이 성남시장일 때 "왜 분란만 일으키냐"고 했고, 경기도지사 시절에도 이 대통령을 공격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다.

홍 전 의원은 그러면서 "정 대표가 한동훈의 길을 갈 것"이라고 짚었다.

이에 함께 출연한 대통령실 출신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은 "한동훈 전 대표가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일 때 내부 총질을 해 대통령실이 부글부글 끓었으나 여당 대표가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 대통령으로서도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거들었다.

박 대변인은 이어 "한 전 대표가 전기료 감면법을 만들겠다고 해 당시 추경호 원내대표가 한전의 천문학적 적자를 들어 반대하는 데도 한 전 대표가 고집을 꺾지 않아 윤석열 전 대통령이 ‘그래 한동훈이 하고 싶은 대로 하라고 해’라고 물러설 수밖에 없었다"며 "스포트라이트는 한 전 대표가 받고 대통령실은 뒤치다꺼리하는 수밖에 없어 애를 먹었다"고 토로했다.

박 대변인은 "이 대통령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