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를 진행 중인 국민의힘이 전한길 변수를 맞아 휘청이고 있다. 지난 8일 진행된 비전발표회에서 전씨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후보에 대해 ‘배신자’라고 비난하면서 일대 소동이 일었다. 이에 당이 책임을 묻겠다며 중앙윤리위원회를 소집한 것이다.
전씨의 행동을 옹호할 생각은 없다. 당의 질서를 어지럽혔다면 징계하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전씨 문제는 큰 맥락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전씨의 행동에는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당원들의 이견이라는 요소가 작용하고 있다. 전씨 한 사람을 징계한다고 당의 이견이 해소될까? 그럴 가능성은 없다. 오히려 당의 내분이 폭발할 것이다.
이번 전당대회 자체가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당대표 최종 경선에 오른 김문수·장동혁 후보는 탄핵 반대 입장이며, 안철수·조경태 후보는 탄핵 찬성이다. 여론조사 결과도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만큼 팽팽하다. 당원과 지지층이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는 이 달 안에 드러난다. 그 사이를 못 기다리고 징계를 서두를 이유가 있을까?
역사적인 맥락에서 보자면 윤석열 탄핵은 박근혜 탄핵의 연장선에 놓인 정치적 사변이다. 박·윤 두 전직 대통령이 모두 반(反)대한민국 좌파에 의해 정치적 참수형을 당한 케이스다. 박근혜 탄핵이 정당했다고 믿는 당원과 지지층이 지금 얼마나 될까? 동일한 현상이 윤석열에게 반복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긴 호흡의 역사적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지금 당장 역지사지의 잣대를 제시해주는 존재도 있다. 민주당 새 당대표 정청래가 그런 인물이다. 정청래는 "전한길뿐 아니라 권성동·추경호 등 의혹 당사자들을 강력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청래는 당대표로 선출된 뒤 의례적인 교섭단체 예방조차 "악수는 사람하고만 하는 것"이라며 국민의힘을 제외했고, 국민의힘 정당 해산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인물의 코칭을 고분고분 받아들이는 결과가 되어선 안된다.
박근혜 탄핵을 주도한 국민의힘 정치인들은 문재인 정권 탄생과 헌정 파탄의 원흉들이다. 이들을 냉철하게 정리했다면 제2의 탄핵은 없었을 것이다. 윤석열의 과오는 엄정하게 지적하되 지휘관을 적의 손에 넘겨주는 일은 막아야 했다. 윤석열의 잘못이 아무리 크다 해도 대한민국 파괴범 문재인과 비교할 수 있을까.
- 기자명 자유일보
- 입력 2025.08.11 14:43
- 수정 2025.08.11 15:23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