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통일당 "이재명 정부, 북한 하명받아 안보 미루는 굴종 정권"

"FTX 축소로 전장 대비 불가…핵 시나리오 배제한 훈련은 억제력 상실"
"발표문서 '북한' 단어도 삭제…강경 문장과는 달리 미온적 실행에 불신"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왼쪽)과 라이언 도널드 유엔사·연합사·주한미군사 공보실장이 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2025년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 한미 공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왼쪽)과 라이언 도널드 유엔사·연합사·주한미군사 공보실장이 7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브리핑룸에서 2025년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 한미 공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자유통일당은 지난 8일 논평을 통해 최근 이재명 정부가 한미 연합훈련 UFS(을지 자유의 방패)에서 FTX(야외 실기동 훈련) 절반을 연기한 것에 대해 “북한 하명에 따른 굴종적 국방 결정”이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당은 이날 부대변인(주영락) 논평에서 "올해 훈련 40건 중 20건이 ‘폭염’을 이유로 9월로 미뤄졌으며, 이는 7월 28일 김여정이 훈련을 문제 삼고 8월 1일 통일부 장관이 훈련 조정을 건의한 뒤, 6일 국가안전보장회의를 거쳐 7일 발표된 것"이라며 “이것이 자주국방인가, 하명국방인가”라고 질타했다.

이어 "이 정부는 야외 훈련 축소에도 불구하고 ‘지휘소 훈련(CPX)은 정상 진행된다’고 밝혔으나 컴퓨터 앞 시뮬레이션으로는 전장을 준비할 수 없다"며 "야전 병력의 기동·보급·의무 루틴은 FTX에서만 체득된다. 전시에 폭염이면 작전을 멈추겠다는 말이냐"고 꼬집었다.

또한 "이번 UFS에는 ‘북한의 핵 사용’ 시나리오가 빠졌다"며 "미사일 위협·사이버 공격 대응만 포함됐고, 핵 공격을 가정하지 않는 훈련이 무슨 억제력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더불어 "올해 발표문에서 ‘북한’이라는 단어가 아예 삭제됐다"며 "작년 발표문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미사일·GPS 교란 등을 명시했으나, 올해는 ‘방어적 성격의 연례 훈련’이라는 표현만 반복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북·러 공조, 중국 개입 등 제3국 위협 시나리오를 포함했다면서도 실기동 훈련은 반토막 났다”며 “문장은 강경하지만 실행은 미온적”이라고 했다. 

이어 “훈련을 미루는 게 아니라 안보를 미루는 정권”이라며 “자주국방을 외치며 국민을 기만하고, 북한 의중에 따라 훈련을 조정하는 것은 안보 주권 유린”이라고 성토했다. 끝으로 “북한의 하명에 따르는 굴종적 국방 행태를 단호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