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연합

미국과 일본이 내달 1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일주일 여 앞두고 극적으로 무역 협상에 타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일본과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일본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상호관세는 15%라고 설명했다. 이는 기존에 서면으로 통보했던 25%에서 10%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는 방금 일본과 대규모 합의를 완료했다. 아마도 지금까지의 협의 중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 요청에 따라 일본은 미국에 5500억 달러(약 759조원)를 투자할 것이며, 이 중 90%의 수익을 미국이 받게 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수십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과 일부 농산물 등에서 자국 시장을 개방한다는 것"이라며 "미국은 일본에 상호관세 15%를 부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으로 연방 의회 공화당 의원들을 초청한 행사 연설에서 알래스카의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관련, 일본이 미국과 조인트 벤처를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미국이 추진 중인 1300㎞ 길이의 알래스카 천연가스관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무역대상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일본에 대해서는 24%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으나, 지난 7일 일본에 대한 이른바 ‘관세 서한’을 공개할 때는 이를 25%로 1%포인트 높인 바 있다. 결국, 일본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알래스카 LNG 사업을 비롯해 거액을 미국에 투자하는 동시에 자동차와 농산물을 개방하는 조건으로 기존 25%의 관세율을 15%로 낮춘 것으로 보인다.

일본이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추진해 온 자동차 품목 관세는 대폭 낮춰졌다.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이 초점을 맞춰온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를 25%에서 12.5%로 절반 낮추고 이전부터 적용돼 왔던 2.5%를 합친 15%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이날 오전 총리 관저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협상 합의와 관련해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에게 연락받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과 관련해 "필요에 따라 전화 통화 혹은 대면 회담을 할 것"이라며 향후 합의 내용을 정밀하게 파악한 이후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정책 이후 미국과 새로운 무역 협상을 완료한 국가는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에 이어 일본까지 총 5개국으로 늘었다.

한편, 미국은 오는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중국과도 고위급 무역 회담을 개최한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폭스 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중국과의 무역 협의 연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관세 ‘치킨게임’을 벌이던 미·중은 5월 제네바 회담에서 서로 100% 넘게 부과하던 관세(미국은 중국에 145%, 중국은 미국에 125%)를 90일간 각각 115%포인트 낮추는 데 합의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