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는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열린 제47차 회의에서 반구천에 있는 국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와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를 세계유산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정식 명칭은 ‘반구천의 암각화’(Petroglyphs along the Bangucheon Stream)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는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라며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준다. 선사인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암각화는 바위나 동굴 벽면 등에 새기거나 그린 그림을 말하는 것으로, 반구천의 두 암각화는 한반도 선사시대의 삶과 예술이 잘 담겨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울산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반구천 절벽에 있는 울주 대곡이 반구대 암각화는 1971년 발견됐다. 높이 약 4.5m, 주 암면 기준 너비 8m의 바위 면에 바다 동물과 육지 동물, 사냥 그림 등이 빼곡히 새겨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어미 고래와 새끼 고래, 잠수하는 고래 등 약 50마리 이상의 고래가 묘사돼 있는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가장 오래된 고래사냥 그림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는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서 약 2㎞ 떨어져 있다. 대곡리 암각화에 앞서 1970년에 존재가 알려진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는 높이 약 2.7m, 너비 10m 바위 면을 따라 각종 도형과 글, 그림 등 620여 점이 새겨져 있다. 청동기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마름모, 원형 등의 추상적 문양도 눈에 띈다.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목록에 새로 이름을 올리면서 우리나라는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이후 총 17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 중 문화유산은 15건, 자연유산은 2건이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세계유산 등재까지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