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린 뒤 국회가 "12.3. 윤석열 비상계엄을 해제한 대한민국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에 대한 수정안"을 가결했을 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모습. ‘어대명’의 여유가 보인다. /연합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린 뒤 국회가 "12.3. 윤석열 비상계엄을 해제한 대한민국 국민께 드리는 감사문에 대한 수정안"을 가결했을 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모습. ‘어대명’의 여유가 보인다. /연합

6월 대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경선 룰 때문에 친명계와 비명계로 갈라지고 있다. 비명계와 범야권인 조국혁신당은 ‘오픈 프라이머리(완전 국민경선)’를 요구하고 있다. 민주당뿐만 아니라 범야권 후보 모두 모여 후보를 정하자는 것이다. 이에 친명계는 "기존 당원의 권리를 빼앗는 데다 그런 걸 하고 있을 시간이 없다"며 거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내 친명계는 조기대선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았으므로, 경선룰 개정을 논의하기 보다는 지난 대선 때 사용했던 당원 중심의 경선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자는 입장이다. 즉 ‘권리당원 투표 50% + 여론조사 50%’로 대선후보를 선출하거나 ‘국민참여경선’과 대의원·권리당원으로 구성한 선거인단, 일반 국민 가운데 신청자에게 투표권을 줘 최종 결과를 가리는 ‘국민경선’ 방식이 가장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대선후보 경선 방식이 정해지면 경선 일정을 최대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그 일환으로 후보들의 순회 지역을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모두 시간이 없다는 게 이유다. 실제로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이유로 대선후보 경선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의뢰하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비명계는 "이재명 대표가 당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만큼 기존 경선 룰을 적용하면 ‘어차피 대세는 이재명(어대명)’이고, 흥행에도 부정적일 것"이라며 ‘흥행’ 차원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조국당 또한 ‘오픈 프라이머리’를 요구하고 있다. 김선민 당 대표 권한대행은 "민주당 대선후보를 민주당 담장 안에 가두지 말라. 각 정당과 시민사회 인사가 제한 없이 참여해 대선후보를 선출하자"고 주장했다. 대표가 감옥에 간 상태지만 대선에서 어떻게든 존재감을 보여주겠다는 취지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친명계는 비명계와 조국당의 요구에도 꿈쩍 않고 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7일 라디오에 나와 "지금 130만 명이 넘는 권리당원이 있고, 일반당원만 해도 500만 명이 되는데 그들의 후보선출권을 박탈하는 결정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완전 국민 경선 주장은) 8년 전에도 나왔던 이야기"라며 "당시 문재인 후보는 헌법 원리에 맞지 않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오픈 프라이머리 수락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