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미국의 인플레이션 둔화세는 지연될 것으로 전망됐다.
제롬 파월(사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9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최근 물가 지표에 대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관세에 대한 반응으로 생각한다"며 "정책 변화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이 이례적으로 높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중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은 이날 공개한 수정 경제전망(SEP)에서 2025년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상승률 전망치를 종전 2.5%에서 2.7%로 상향 조정했다. 2026년도 전망치는 2.1%에서 2.2%로 0.1%포인트 올렸고, 2027년도 전망치는 종전의 2.0%에서 조정하지 않았다. 관세 충격이 일시적일 것이란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관세 충격을 일시적으로 보냐는 질문에 "관세 충격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을 기본 시나리오로 본다"며 "하지만 실제로 그것을 알 수는 없으며 상황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인플레이션이 우리의 조치 없이 빠르게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때론 그런 인플레이션을 간과하는 게 적절할 수 있다"며 "관세 인플레이션의 경우에도 그럴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는 관세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빠르게 지나갈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질문엔 "현재 우리는 실업률이 완전고용에 근접한 4.1%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에서 2%에 가깝게 둔화하는 상황에 있다"며 "우리가 (1970년대의) 그런 상황에 직면했다고 보진 않는다"라고 진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