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원전이 체코에서 24조 원 규모의 신규 원전 2기 건설 사업을 수주했다. 원전 수출로는 사상 최대이자 2009년 UAE 바라카 원전 수주 이후 15년 만의 성과다.

체코가 원전 2기를 추가 건설할 경우에도 한국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했기 때문에 총수주액은 최대 40조 원을 웃돌게 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체코 두코바니와 테믈린 지역에 1000메가와트급 원전 4기를 짓는 신규 원전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한국수력원자력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수주는 탈원전 정책으로 고사 직전까지 갔던 K-원전 업계가 부활과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한편, 세계 2위 원전 대국인 프랑스를 안방인 유럽에서 꺾었다는 의의가 크다.

지금 전 세계는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원전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친환경이라는 명분을 내세운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을 강화하면서 탈원전 정책을 추진했던 국가들이 서둘러 원전을 부활시키고 있는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는 경제성은 물론이고 공급의 안정성, 기술적 완성도 등에서 당분간 에너지 정책의 근간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이 분명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 구조 변화도 원전 도입의 절박성을 높이고 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기차 시장의 확대 등으로 전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탄소 중립에 따른 화석연료 퇴출 요구가 커지고 있는 것도 원전의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한국 원전의 경쟁력은 ‘On time On budget’(정해진 예산으로 적기 시공)을 내세운 시공 능력과 가격 경쟁력에 있다. 제조업과 건설업, 정보통신 등 한국의 산업 인프라 전반이 원전 경쟁력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만큼 원전 수출이 우리 경제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도 어마어마하다.

여기서 짚어야 할 것이 문재인의 탈원전 정책이 끼친 폐해다. 문재인 때문에 한국이 놓친 기회비용을 생각하면 치가 떨린다. 문재인의 탈원전은 영화 한 편 보고 결정한 것이 아니다. 악마 같은 악의를 기반으로 밀어붙인 대한민국 파괴 공작이다.

철저하게 추적해 한 치의 관용도 없이 반드시 응징해야 한다. 그래야 정권의 향배에 따라 국가 산업의 백년대계를 무너뜨리는 반역 무리의 준동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