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처세대’로 불리는 1960년대생 3명 중 1명은 자신이 고독사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마처세대는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를 의미한다. 마처세대 10명 중 5~6명은 부모나 자녀, 혹은 양쪽 모두에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다. 퇴직자의 경우에는 절반 가량이 평균 2.3개의 일터에서 일을 하고 있다.
3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이사장 김용익)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8~15일 1960년대생(만 55~64세) 980명을 대상으로 웹·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렇게 조사됐다고 밝혔다.
‘386세대’로도 불리는 1960년대생은 모두 85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에 달한다. 710만 명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보다 인구 규모가 더 크다. 내년부터 가장 빠른 1960년생을 시작으로 65세 이상인 법적 노인 연령에 접어든다.
응답자의 10명 중 3명꼴인 29%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고, 부모가 있는 경우 44%가 월평균 73만 원의 용돈을 주고 있었다. 49%는 부모가 편찮아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 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보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는 자녀에게 월평균 88만 원의 경제적 도움을 주고 있었는데, 전체의 6~7명 중 1명인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을 하며 월평균 164만 원을 여기에 지출했다.
70%는 현재 수입을 목적으로 일하고 있으며, 90%는 "건강이 허락하면 계속 일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52%인 퇴직자 중에서는 54%가 재취업 또는 창업으로 일을 하고 있었다. 일하는 경우 평균 2.3개의 일자리를 가지고 있었다.
응답자들이 생각한 적정 정년은 만 65.4세로 법정 정년인 만 60세보다 5세 이상 높았다. 응답자들은 기대수명을 85.6세로 답했고, 자신이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을 6.7년으로 예상했다.
노후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89%가 본인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62%만 현재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노후준비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국민연금(80%)을 꼽는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퇴직 후 소득이 없지만 연금을 받지 못하는 소득절벽에 대해서는 81%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자녀의 부양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세대인 만큼 응답자들은 대부분 노년 돌봄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었고, 상당수는 국가의 돌봄서비스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응답자의 3명 중 1명꼴인 30.2%는 스스로가 고독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걱정하는 비율은 월소득이 200만 원 미만인 저소득층에게서 49.9%로 높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