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격노설 규명 위한 수사 아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국회 본회의에서 재표결을 거쳐 ‘채 상병 특검법’이 부결되자 "법과 원칙대로 계속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공수처는 28일 국회 본회의에서 ‘채 상병 특검법’이 부결된 직후 이 같은 입장을 밝히며 "지금까지 해왔던 대로 증거와 법리에 따라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공수처는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수사와 관련해 "VIP 격노설을 규명하기 위해 수사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범죄 혐의를 규명하기 위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이라는 것이 정확한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박정훈 대령이 지난해 8월 1일 회의에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대통령실 회의에서 VIP(대통령)가 격노하면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말하며 조사 보고서 경찰 이첩을 막아섰다고 주장하며 이른바 ‘VIP 격노설’이 불거졌다. 최근 김 사령관의 휴대전화에서 ‘VIP 격노설’을 언급한 녹취 파일을 확보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지난 21일 이들을 같은 날 불러 조사하며 대질 조사를 시도했으나, 김 사령관 측의 반발로 무산됐다.
오동운 공수처장은 이날 김진표 국회의장을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수사를 열심히 하고 있다"며 "방향을 정해놓고 가는 것은 아니다. 지금 수사 보고도 받는 중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공수처는 김 사령관과 박 대령의 3차 소환 조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 관계자에 따르면 "수사팀 입장에서는 기록도 검토하고 다른 참고인도 조사하면서 김 사령관을 대상으로 확인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나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등으로 조사를 확대할 단계는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